어린이과학동아
"이용"(으)로 총 3,35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수달연구센터에서 아기 수달을 만나다기사 l20161202
- 보호하고 있다. 수달은 육식 동물이고 최상위 포식자이다. 그래서 집을 지을 필요가 없지만 동굴이나 바위 틈새 등의 자연구조물을 이용해 보금자리로 사용한다. 여러 전시물 중에서 수달의 발자국과 똥이 특징적이었다. 수달은 물고기를 많이 먹어서 비늘과 물고기 뼈가 똥에 섞여서 해초 같은 바다 냄새가 난다고 한다. 수달은 유선형의 날렵한 몸매에 ...
- 해리포터 좋아하시는분 보시오!포스팅 l20161127
- 모두 적합하다는 평을 들은 유일한 마녀예요 마법부는 마법세계의 정부로 노마지(머글)들이 함부로 찾거나 출입할 수 없도록 마법을 이용한 출입구를 사용해요 노마지들에게 마법사의 존재를 숨기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고 신비한 동물관리과, 마법 오남용 관리과, 오러부서, 미스터리부서 등 세부적이고 다양한 부서로 구성되어 있어요 해리포터 이야기의 ...
- 크리스마스트리 전구에 숨은 직렬 병렬의 비밀기사 l20161122
- 크리스마스트리 각 전구에 전압이 걸리는 병렬연결을 이용하면 220V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정격전압이 2.5V인 전구에 병렬연결을 이용하면 각 전구 당 220V가 흐릅니다. 그러면 폭발해 버릴 수 밖에 없겠죠. 그러나 정격전압 4V 전구 55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가정용 전압인 220V에 맞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크리스마 ...
- 천연지시약 만들기기사 l20161120
- 안전망을 올려주십시오. 용액이 보라색으로 가열이 완료되면 가열한 물체를 식혀 주십시오. 비커를 다 식혔으면 유리 막대를 이용해 안토사이아닌이 포함된 식물을 건져줍니다. 만들어진 용액을 산성 용액인 식초와 염기성 용액인 베이킹소다가 용해된 물에 이 지시약을 3방울 정도씩 떨어트려 보겠습니다. 이렇게 용액은 붉거나 푸르게 변합니다. ...
- 세그웨이에 대하여기사 l20161119
- 암호로 불려졌던 딘 카멘의 새로운 발명품(세그웨이)는 기술정보전문분야의 인사이드닷컴이 프리랜서 스티브 켐퍼가 쓴 책을 인용(이용)해 '세상을 바꿀만한 발명품'으로 소개했을 때부터 화제가 됐다. 이 말은 공식적으로 발표하기 전부터 이미 잘 알려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딘 카멘은 하버드 경영개학원 출판부와 새 발명품 관련 및 출판계약을 ...
- 에이드 배경화면~!!포스팅 l20161119
- 예쁜 배경화면 입니다!! (가로) 퍼가셔도 되요~~ 퍼갈때 댓글 남겨주세요~ 방법은 아시죠?? 출처는 거의 항상 코글이고요 이것도 코글이에요~ 링크는 http://www.cogul.co.kr/ 입니다. 맨 위 입력창에 이거 쓰시면 바로 페이지 떠요~!! 많은 이용 바랄게요~!! ...
- 수 만 년간 잠들어 있던 털매머드, 천연기념물센터에서 만나다!기사 l20161113
- 마치 삽처럼 바닥에 깊이 쌓인 눈을 파서 먹이가 되는 식물을 찾는 데 상아를 사용했습니다. 둘째, 지나가는데 길을 내기 위해 상아를 이용해 눈을 치웠습니다. 마지막으로 상아는 다른 수컷 털매머드를 공격하는 데 무기로도 사용되었습니다. 매머드의 이빨은 송곳니가 없고 어금니와 앞니로만 되어있다고 그랬지요? 그럼 이번에는 매머드의 이빨 ...
- 매머드와 화석들을 파헤쳐 볼까?기사 l20161109
- 건강 상태, 수명, 살았던 환경, 사망 당시 계절 등을 알아낼 수도 있어요. 털매머드의 상아는 눈을 치울 때, 싸울 때 등 여러 곳에서 이용되었어요. 그런데 왜 천연기념물센터에 왜 털매머드 화석이 전시되고 있을까요? 기증자는 박희원 관장님이시고 나가노현 고생물학박물관, 러시아국립과학아카데미 매머드 위원회 소속이고요 1994년에서 1996년 ...
- 매머드, 과학으로 깨어나다기사 l20161106
- 털이 긴 매머드입니다. 털매머드는 4-6톤이며, 2.7m나 된다고 합니다. 선사시대 사람들이 털매머드를 사냥해서 고기를 얻거나, 뼈를 이용해 도구를 만들어 사용했다고 합니다. 매머드는 지금의 아프리카, 아시아 코끼리와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그런데, 다른 점은 상아 모양, 꼬리 길이, 귀 크기입니다. 또 허리 부분이 다르게 생겼습니다. 매머드 ...
-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국제천체투영관영화제가 열린대요~기사 l20161102
- 오로라를 감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오로라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 화면이 네모난 카메라 한 대가 아니라 여러 대를 이용해 촬영했습니다. 그래서 경관을 답답하게 갇혀있는 화면에 가두지 않고 실제의 느낌을 그대로 옮길 수 있었다고 합니다. 또 오로라는 북쪽에 자주 형성되지만 구름이 많이 끼어서 보지 못할 때가 많다고 합니다. 캐나다로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