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19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짧은 시간폭을 갖는 레이저 펄스를 만들 수 있다. 짧은 레이저 펄스를 증폭하려면 증폭
장치
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길고 작은 세기의 펄스로 바꾼 후 이를 증폭시켜 시간을 압축하는 방식으로 짧고 강한 레이저 펄스를 만드는 원리다. 이 기술은 이후 고출력 레이저 펄스를 만드는 표준기법이 ... ...
"더 많은 여성이 노벨상 받을 것"…55년 유리천장 깨다
2018.10.02
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앞으로 전 세계에 도입된 레이저
장치
들을 활용해 암을 치료하고 화학과 물리, 공학 등 아주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물리학상 선정위원회는 이날 도나 교수와 함께 애슈킨 전 ... ...
노벨상 최고령기록 100세 육박…90살에서 96살로 껑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석좌교수는 애슈킨 연구원이 만든 광학 집게를 이용해 원자를 포획하고 냉각하는
장치
를 만들어 1997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당시 학계에서는 애슈킨 연구원이 수상하지 못한 것과 관련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병호 서울대 교수는 “스티븐 추 교수가 광학집게를 이용해 원자를 붙잡아 얼리는 ... ...
배터리 필요없는 피부 부착 심전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태양전지로 작동하는 결합형 초박형 센서를 이용해 피부에 붙이는 심전도 측정
장치
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최근 피부나 옷감에 밀착시켜 쓸 수 있는 튼튼한 유기태양 전지가 개발되면서 차세대 센서용 전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내장형 배터리를 이용할 경우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 ...
뇌신경세포 모방해 더 똑똑한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자원을 끌어다 쓰는데, 이세돌 9단과 대국할 당시엔 중앙처리
장치
(CPU) 1202개, 그래픽연산
장치
(GPU) 176개를 사용했다. 단일 시스템으로 만들었다면 슈퍼컴퓨터에 해당한다. AI는 인간 대신에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공장 시스템을 제어하는 등 복잡하고 빠른 판단이 필요한 분야에도 두루 쓰일 것으로 ... ...
[2018노벨상]올해 어떤 분야가 상 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이론이 보다 명확해졌으며, 자동차의 보완용 배터리로 사용되는 대용량 전기저장
장치
인 슈퍼커패시터 등으로 적용돼 산업 영역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2년 연속 예상 수상 분야로 선정된 우주 은하론도 있다. 지난해에는 은하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온도 차이를 발견하는 등 ... ...
레이저로 ‘극자외선’ 발생시키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연구에 사용된 펨토초 레이저 압축
장치
. 연구진은 압축
장치
속 여러 개 특수 거울을 이용해 레이저 펄스를 조절했다. 과학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초정밀 반도체 회로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극자외선을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초강력레이저과학 ... ...
"땡큐 슈퍼맨~"…하반신 마비 환자들"두 발로 다시 걷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이용, 뇌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증폭시켜 척수로 전해지도록 했다. 전기 자극
장치
역시 개인에 맞게 프로그램했다. 신호가 너무 약하면 척수로 전달되지 않고, 너무 높으면 다리의 무의식적인 움직임을 유발한다. 의료진은 수개월 이상 시간을 들어 환자 개개인에게 맞는 정확한 전기자극 주파수를 ... ...
[과학게시판]SF2018 미래과학축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제공하는 빌트인 인증
장치
로, 외부 업체에서 제공하는 독립적인 인증
장치
와 기존 U2F 인증
장치
모두와 연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원측은 이 기술을 국내 기업에 이전하기로 했다. 문의 042-860-081 ... ...
‘이모지’ 만드는 초소형 안면 스캐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제작 공정에 어려움이 있고, 라이다 기술의 경우에는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장치
를 소형화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크램블링 메타표면’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개발했다. 빛의 파장보다 표면 무늬가 더 작은 ‘메타물질’을 적용한 카메라 소자를 개발한 것이다. 빛의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