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머무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파라마운트 식당을 운영하는 주인은 식당
구조
를 바꿨다. 메뉴를 고르고, 음식을 받고, 계산을 하는 모든 과정을 식당에 들어오면서 테이블에 앉기 전까지 이동하면서 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그 결과 손님들은 테이블에서 오직 식사만 하게 되었고, 10개의 ... ...
11화 점차 밝혀지는 10개 방의 비밀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성냥개비가 없어지자 정사각형
구조
물이 와르르 무너지더니, 갖가지 직사각형 성냥개비
구조
물들이 어지럽게 날아다녔다. 그리고는 성냥이 꺼졌다. 폴이 남은 성냥을 다시 켰지만, 이번에도 똑같은 환상만 보였다. 남은 성냥은 단 두 개. 이때 폴리스가 조심스럽게 말했다.“혹시 아홉 개의 성냥을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망원경은 빛을 퍼뜨리는 오목렌즈(접안)와 빛을 한 점에 모으는 볼록렌즈(대물)를 결합한
구조
다. 볼록렌즈를 통과해 한 점에 맺힌 물체의 상은 오목렌즈를 통과하며 다시 커진다. 이렇게 렌즈를 통과한 빛이 꺾이는 현상인 ‘굴절’을 이용한 망원경을 ‘굴절망원경’이라고 한다.잠깐! 배율과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송곳니는 서서히 사라졌고, 풀을 잘 씹는 데 필요한 앞어금니와 어금니의 크기가 커졌다.
구조
도 잘 씹을 수 있도록 바뀌었다. 이와 반대로 개와 같은 육식 동물은 먹잇감을 공격하고 살을 잘라 먹어야 하기 때문에 송곳니가 크고 잘 발달했다.매머드나 마스토돈 같은 포유류의 입은 형태가 더욱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다시 쪼개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어요.”김 교수는 “소수가 지닌 매력의 상당 부분은 그
구조
의 이해하기 어려운 본질에 있다”며 완전히 이해하고 나면 오히려 그 매력이 사라지지 않을까 걱정했다.하지만 말과는 다르게 공상이 공상으로만 끝나지 않고 현실이 되었으면 한다는 바람을 책에서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입속 공간과 내이 사이는 조직이 얇고 층이 적어서 소리를 전달하기에 유리한
구조
로 돼 있다. 소리를 모아주는 귓바퀴와 고막이 없어도 입이 그 역할을 충분히 대신할 수 있다는 소리다.마지막으로 입을 손 대신 쓰는 동물을 소개한다. 이런 동물은 많지만, 하와이에 사는 한 망둑류 물고기는 좀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모르겠다. 하지만 실제로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들을 만나보면 어떨까.리보솜의
구조
와 기능을 밝힌 업적으로 2009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의 아다 요나트 박사는 노벨상 또한 하나의 상에 불과하다고 이야기한다.“노벨상 발표를 처음 들었을 때 정말 흥분되고 기뻤죠. 하지만 ... ...
[life & Tech] 동물은 어떻게 커플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몸쪽 꼬리 근육은 부드럽고 유연했지만 바깥쪽 근육이 빳빳하게 자랐다. 연구팀은 이런
구조
에서는 부채꼴모양의 깃털이 자랄 수 있기 때문에 깃털로 장식된 꼬리를 흔들어 상대를 유혹했을 것이라고 추리했다.1억 5000만 년 전부터 미인을 좋아했다는 연구에 자신감을 얻은 김주황은 자신의 외모를 ... ...
미스터리 수학! 펜로즈 계단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있기 때문이다. 펜로즈 계단은 끊임없이 올라가거나 내려가도 항상 제자리로 돌아오는
구조
를 가지고 있다. 우리 눈의 착각을 이용해 현실에서는 존재할 수 없는 계단을 2차원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현실에선 불가능하지만 종이 위에선 가능한 매력적인 이 계단은 예술가의 마음을 단번에 ... ...
EPILOGUE 건설 공장에서 찍어내는 미래 도시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위치를 바꿔 균형을 잡는다”며 “굴착기가 전복돼도 운전실이 찌그러지지 않도록
구조
와 신소재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햅틱 무인 굴착기’는 굴착기에 가해지는 힘을 조이스틱 모양의 조종대를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해 안정성을 높였다. 홍대희 교수는 “기존 굴착기는 삽에 무리한 힘이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