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교육과정은 과 같다. 진로 분야에 따라 과목을 선택해 들을 수 있다. 수학과 과학은
자연
계 논술고사를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교과학습 세부사항에 기록되기 때문에 입학사정관이 충분히 관심을 가질 수 있으며, 전공 분야와 관련한 활동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 ... ...
수학촌의 단짝친구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생각한 숫자를 알아맞힌 걸까? 여기에는 이진법의 원리가 숨겨져 있다. 1부터 127까지의
자연
수는 모두 7자리 이내의 이진법의 수로 나타낼 수 있다. 이진법은 각 자리의 숫자를 모두 ‘0 또는 1’로만 표현한다. 이 사실을 이용해 참가자가 선택한 숫자가 카드에 있는지 따지기만 하면 참가자가 어떤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일만 중요한 것은 아니었다. 극한 환경에서는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기도 쉽지 않았다.
자연
재해도 극복해야 했다. 인류는 다양한 지역에서 환경에 맞는 고유한 생존 전략을 세워 위기를 이겨냈다.역사를 바꾼 물줄기큰 하천의 하류에 발달한 넓은 평야에는 많은 사람들이 살 수 있다. 하지만 한 ... ...
햇볕에 널기만 해도 깨끗해지는 옷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해도 알아서 빨래가 될까. 아주 특별한 섬유라면 가능한 이야기다. 데용 우 중국국립
자연
과학재단 박사팀이 ‘어플라이드머티리얼’지에 최근 발표한 섬유 소재는 햇볕에 널어 두면 스스로 세균이나 얼룩을 없애고 깨끗해진다.연구진이 발표한 새로운 섬유는 자외선만이 아니라 가시광선에도 ... ...
인공눈, 누가 만들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자연
눈도 미생물이 만든다?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의 브렌트 크리스트너 교수는 프랑스의 알프스 산, 남극의 로스 섬 등 19곳에서 눈 시료를 모았다. 각각 다른 장소에서 모은 것이지만 모든 시료에서 슈도모나스시링가이가 발견됐다. 크리스트너 교수는 구름에 들어 있는 응결핵이 바로 슈도모나스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노력을 했다. 하지만 이런 노력은 큰 의미가 없었다. 여성의 지위가 올라가면서
자연
적으로 출산율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아프리카를 제외하면 더 이상 예전 같은 폭발적인 인구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 오히려 지구 인구가 100억을 돌파할 수 있을지 여부조차불투명한 실정이다. 학자들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제자리에서 제 몸의 30배가 넘는 높이를 뛸 수 있다]파리 안에 답이 있다조 교수는 “
자연
에는 정말 신기한 것이 많다”고 말을 이었다.“자벌레 아시죠? 움직이는 거 보세요. 기어가다가 방향을 마음대로 바꾸고, 구를 수도 있고 게다가 똑바로 서기까지 하죠. 지금 로봇 기술은 그 작은 자벌레도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초신성 폭발 잔해에서 중성자별이 탄생하는 모습. 중성자별 표면의 중력은 지구의 2000억 배다. 조금이라도 튀어나오거나 들어간 곳을 그냥 두지 않는다 ... 만들어내는 싸움에서 인간은
자연
에 완패했다. 앞으로 전자보다 더 완벽한 공이 나타날까.
자연
의 능력이 어디까지일지 궁금해진다 ...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만만치 않다. 캐나다의 앨버타 지역에서 발견된 화석이 중요한 근거가 된다. 1910년 미국
자연
사박물관의 바넘 브라운은 레드 디어 리버에서 알베르토사우루스(8m 정도에 달하는 대형 육식공룡) 화석 9개를 발굴한다. 이후 이 지역을 다시 조사한 캐나다 로열 티렐 박물관의 필립 커리 박사팀은 이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섬으로 인류의 조상들이 확산해 가는 과정이 그려져 있다. 인류는 고향을 떠나 새로운
자연
을 향해 서서히 퍼져간다. 태평양 망망대해 너머에 새로운 섬을 발견할 수 있다는 확신이 없음에도 위험을 무릅쓰고 떠났다. 특별한 목적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서서히 늘어가는 다른 인류의 자취를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