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74건 검색되었습니다.
독감예방 주사 맞았다고 안심했다가는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10.22
바이러스의 새로운 침입경로가 뒤늦게 밝혀진 까닭은 메모리 B세포의 수가 극히 적고
분리
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특별히 고안해 낸 발광단백질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붙이는 방법과 복제 기술을 함께 사용해 이번 성과를 얻어냈다. 경희대 생물학과 정용석 교수는 “면역반응과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노벨상 수상 연사 4人
동아일보
l
2013.10.21
특수한 효소다. 1980년 무렵에는 세상에 알려진 제한효소의 75% 이상이 그의 실험실에서
분리
됐다. 관련 업체들이 이 효소들을 상업적으로 활용할 기미를 보이자 로버츠 박사는 이를 무료로 과학자들에게 제공하기도 했다. 프로필 생년: 1943년 국적: 영국 소속: 미국 뉴잉글랜드 바이오랩스 주요 이력 1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주요 참석 연사 6人
동아일보
l
2013.10.21
응용학문 분야에 관심을 갖고 세계 최초로 다양한 나노소자를 사용해 특정면역세포를
분리
,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를 세포치료기술에 응용해 2010∼2012년 나노레터(Nano Letters) 등에 발표했고 항암면역세포치료비용을 기존의 10% 수준으로 낮추는 맞춤형세포치료기술을 개발해 올해 ... ...
나이들면 심장박동 느려지는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0.15
전기신호 때문이다. 연구팀은 늙은 쥐의 심장에서
분리
한 동방결절이 젊은 쥐에서
분리
한 것보다 신호를 느리게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 다음 연구팀은 세포가 늙을 때 세포막에 있는 ‘이온 통로’에서 생기는 변화 때문에 신호 주기가 느려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이온 ... ...
노벨상 역대 수상자 4명 참석… “한국 최대의 자연과학축제”
동아일보
l
2013.10.14
찾는다. 그는 199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생화학자이자 분자생물학자인 그는 ‘
분리
유전자’를 발견해 유전병과 일부 암이 유전자 정보조합의 이상에서 비롯됐음을 밝혀냈다. 최근엔 생물정보학과 생화학 실험법의 조합을 사용해 새로운 효소를 발견하기 위한 방법 연구에 뛰어들었다. 앤드루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유출…작업자 6명 피폭
동아일보
l
2013.10.11
9시 35분쯤 원자로 냉각에 사용된 물에서 염분을 제거하는 담수화 장치 배관을 실수로
분리
해 오염수가 새어 나갔다고 설명했다. 오전 9시 48분쯤 검지기가 누수 사실을 경고했고 도쿄전력 담당자가 9시 55분쯤 현장에 도착하니 이미 바닥에 물이 고여 있었다. 이후 배관을 다시 연결해 오전 10시 50분쯤 ... ...
항암제를 10분의 1만 써도 항암효과는 '그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13.10.11
단단히 결합해 혈액에서는
분리
되지 않다가 수소이온지수(pH)가 4~5인 암세포 핵 주변에서
분리
돼 작용한다”며 “기존 항암제 용량의 10%만으로 똑같은 항암효과를 얻을 수 있어 암 환자들의 고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학술지 ‘ACS Nano’ ... ...
미래를 바꾸는 '꿈의 신소재' 그래핀
동아사이언스
l
2013.10.09
투자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2010년 노벨 물리학상도 단원자층 그래핀을 최초로
분리
해 낸 영국 맨체스터대 안드레 가임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에게 돌아갔다. 현재 그래핀 연구는 이론적·실험실 연구 단계를 지나 소재의 대면적화, 고품질화를 위해 산업계에서 응용 연구가 ... ...
[노벨물리학상 특집] 힉스의 모든 것 3
과학동아
l
2013.10.09
다른 입자들에게 질량을 주는 현상은 ‘힉스 메커니즘’이다. 이는 힉스 입자와는
분리
해 사용해야 하는 용어다. 힉스라는 사람 이름(피터 힉스)이 공통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혼동하고 있을 뿐이다. 차차 자세하게 얘기하겠지만 힉스는 모든 입자에 질량을 주는 과정(힉스 메커니즘)에서 함께 ... ...
알레르기도 알고보니 '비만'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밝혔다. 연구팀은 우선 비만세포를 과립소포체, 세포질, 세포막 등의 소기관별로
분리
하여 '오믹스 기법'을 통한 단백질의 양적 변화를 보았고, 비만세포 내 과립에 프로히비틴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프로히비틴은 본래 미토콘드리아의 생성이나 유지, 세포 활성화 과정에 작용하는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