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통 기반
유사점
상사점
공통 특질
d라이브러리
"
공통점
"(으)로 총 74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브릭과 수학은 ‘변수↔관계↔구조’ 단계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공통점
이다. 다시 말해 정해진 브릭으로 호텔을 만들었다가 다시 브릭 조각으로 분해할 수 있는 점이 이 수학과 닮았다는 것이다. 챙 교수는 “수학 공부를 지금보다 잘 하려면 변수 사이의 관계를 잘 분석하고,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사실이 놀라울 따름이지만, 이들의 몸 구조를 자세히 보면 사라진 뺨 뼈 외에도 도마뱀과
공통점
이 많다. 2010년, 스웨덴 룬드대 요한 린드그렌 박사팀은 보존상태가 뛰어난 모사사우루스류인 플라테카르푸스의 화석을 보고했다(아래 2). 이 화석에는 모사사우루스류의 피부를 덮고 있는 비늘의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땅속으로 잔뿌리를 낸다. 모두 무언가를 효율적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 길을 낸다는
공통점
이 있다.독일의 과학자 빌헬름 루는 이런 경우 대부분의 가지는 한 점에서 두 갈래로 나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때 새로 생기는 두 갈래는 굵기가 서로 같을 수도 있고, 한쪽이 훨씬 더 굵을 수도 있다. 원래 ... ...
내가 뭘 좋아할지 소프트웨어에게 물어 봐!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새로 나왔을 때 추천하면 ‘먹힐’ 확률이 높다. 아마존에선 이런 식으로 책 사이의
공통점
을 찾아 추천한다. 추천으로 구매한 책이 전체의 35%를 차지할 정도로 성공확률이 높다. 친구를 보면 당신을 알 수 있다이제는 한 발 더 나아가 현실에서의 친밀도를 기준으로 상품을 추천하는 소프트웨어가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두 가닥이 나선처럼 꼬여 있는 DNA, 올록볼록한 알맹이가 촘촘하게 박혀 있는 파인애플의
공통점
은 무엇일까?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이고 가지런한 모양이라는 것이다.생명체가 자손을 번식하기 위해 꼭 필요한 유전물질 DNA(디옥시리보핵산)는 두 가닥의 사슬이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모양이다.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공통점
은? 컴퓨터의 아버지 튜링을 다룬 영화와 최고 인기의 탐정이 나오는 영화에 어떤
공통점
이 있는 거지, 라고 고민한다면 실망스럽다. 답은 간단하다.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주인공을 맡았다. 자폐증이라도 걸린 것처럼 자기만의 세계에 푹 빠져드는 연기로는 당대 최고인 이 배우가 발명왕 ... ...
에펠탑 보면 떠오르는 와인은?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사용하는 것은 먹는 것과 키스가 거의 유일하다"고 강조합니다. 둘 다 입으로 한다는
공통점
이 있네요. 입이 오감을 한꺼번에, 그것도 민감하게 느낄 수 있는 유일한 신체기관이기 때문이겠죠. 먼저 촉각을 살펴봅시다. 한번 녹아버린 아이스크림을 냉장고 냉동칸에서 다시 얼리면 맛이 어떻게 ... ...
과학기술 대중도서 ‘이지 사이언스 시리즈’ 발간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차세대 고속열차’ ‘식품의 나트륨 채널 조절’. 전혀 연관이 없는 것 같은 이들의
공통점
은 모두 우리나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이 선도하는 연구개발(R&D) 분야라는 점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21개 출연연과 공동으로 이런 연구 성과를 쉽고 재밌게 알 수 있는 ... ...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과학자들 간의 꾸준한 연구협력이 진행 중입니다.앞에서 말씀드린 과학적 주제들의
공통점
은 엠바고가 명시된 보도자료에서 찾아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독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기사를 쓰기 위해서는 잘 차려진 밥상이 아니라 날 것인 상태에서 취재원을 확보하고 정보를 캐내야 합니다. 우리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십여 가지가 넘는다. 저마다 구조도, 이름도 다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모두 하나의
공통점
이 있다. 반도체라는 점이다. 차세대 태양전지판으로 주목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도 예외가 아니다. 빛은 어떻게 전기로 바뀔까모든 태양전지에 반도체가 사용되는 이유는 반도체가 빛을 받아서 전기를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