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체현
실현
형상화
구상
인격화
전형
d라이브러리
"
구현
"(으)로 총 1,382건 검색되었습니다.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기체를 1억℃ 이상으로 가열해 플라스마 상태를 만들어야 한다. 이처럼 높은 온도를
구현
하기 앞서 이 온도를 버틸 수 있는 적당한 그릇이 필요하다. 이때 대기보다 밀도가 1만분의 1인 플라스마의 체감온도는 1만℃쯤 된다.1만 ℃나 되는 온도를 버틸 수 있는 그릇은 흔치 않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만들어 장치가 핵융합 반응을 모사할 수 있는지 검증하듯, 버추얼 데모 역시 직접
구현
하기에 앞서 가상의 핵융합 실험로를 만들어 검증 단계를 거친다.권 부장은 “버추얼 데모는 한 마디로 컴퓨터상에서 핵융합 발전을 실험해 볼 수 있는 컴퓨터 속 실험실”이라며 “가상의 핵융합로를 차근차근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2만 5463장을 모델링해 만들었습니다. 롯데월드타워처럼 압도적으로 높은 건물은 특히
구현
하기가 힘들었죠.”스마트 서울맵은 서울시와 네이버랩스가 공동으로 개발했다. 네이버랩스의 윤여일 매핑앤로컬라이제이션팀 기술리더(TL)는 총 30TB(테라바이트·1TB는 1024GB) 용량의 고해상도 항공사진으로 ... ...
[한페이지 뉴스]"산소는 SELF" 스스로 산소 공급하는 인공조직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이유다. 특히 최근에는 3D 프린터를 이용해 장기의 인공조직을
구현
하는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슈라이크 장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팀은 3D 바이오프린팅 기법으로 합성한 3차원 골격 구조에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물질(Matter)’ 1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있습니다. ITER에서 본격적으로 실험하려고 하는 중수소-삼중수소 핵융합 반응을 현재
구현
할 수 있는 유일한 반응로가 바로 JET입니다.미국은 ‘DⅢ-D’라는 반응로를 갖고 있습니다. JET만큼 거대하지는 않지만 역시나 뛰어난 성능을 자랑합니다. 일본에는 마치 3단 변신 로봇 같은 핵융합 반응로도 ... ...
a-school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수 있습니다. 오른쪽 화면은 물리 교과서에서 배우는 공의 포물선 운동을 프로세싱으로
구현
한 겁니다. 힘이나 운동 방향을 변화시킬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를 실험해볼 수 있죠.또 프로세싱으로 만든 게임에서 변수를 바꿀 때 캐릭터의 움직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게임 제작 ... ...
[한페이지 뉴스]사막 공기에서 물을 뽑을 수 있을까? “YES”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수 있는 재료를 연구 중”이라며 “흡수력이 큰 재료를 찾고 장치를 휴대할 수 있게
구현
하면 사막 등 물이 필요한 다양한 곳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16/j.joule.2020.09.008김소연 ... ...
[화보] 유기젤 레시피...무생물에 숨을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되살아난다. 오랫동안 과학계에 몸담아 온 작가는 유기 젤(organic gel)로 생명체의 모습을
구현
했다. 작품 내부에서 발산되는 신비로운 빛을 포착하기 위해 각도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편광필터로 사진을 촬영했다. 그렇게 세상 어디에도 없는 작품이 ... ...
MRI, 양자컴퓨터, 인공고기… 첨단기술 속 브릭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초전도 상태에서 전자의 스핀이 동시에 여러 상태로 중첩되는 특성을 활용해
구현
한다. 초전도 현상은 매우 낮은 온도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양자컴퓨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극저온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절연체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브릭의 절연력을 실험으로 측정했다. 브릭 4개를 ... ...
[매스미디어] 테슬라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충전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모두 위대한 발명가인 니콜라 테슬라가 생각하고
구현
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그의 노고가 현실화돼 우리가 더 편리한 삶을 누리고 있습니다. 이를 미리 알았던 건지, 테슬라는 생전에 위와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160여 년이 지난 지금, 다시금 재평가받고 있는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