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네트웍
넷워크
중계망
network
넷트워크
통신망
방송망
d라이브러리
"
네트워크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자본주의 경제는 점점 규모가 큰 기업이 증가하고 세계화의 경향이 강화되면서 국제적인
네트워크
안에서 활동하는 다국적 기업으로 확장되고 있다. 각국의 시민사회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커진 만큼 기업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 핵심은 환경과 관련한 기업의 책임 ... ...
[과학뉴스] 유튜브로 공부한 AI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행동 데이터를 추출해 텍스트투액션
네트워크
를 학습시켰다. 그 결과 텍스트투액션
네트워크
는 진짜와 가짜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보유해 말데이터와 거의 비슷한 행동 데이터를 만들어 냈다. 또 이전에 학습하지 않은 말 데이터를 입력했을 경우 기존 데이터를 이용해 해당 말 데이터에 적합한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창은 좋아하지 않는 사람의 알람을 울릴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런 기술은 센서
네트워크
상의 보안 기술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방패는 센서 노드 간에 보안키를 설정해 만들고, 창은 보안키를 해킹하면 가능합니다. 보안키를 해킹하려는 사람과 지키려는 사람의 숨 막히는 대결, 정말 기대되지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해부> 연재를 마칩니다. 그간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얼마 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상에 이상한 의학 루머가 떠돌았습니다. ‘혼자 있을 때 심장마비가 오면 강하게 기침을 해 대처할 수 있다’는 내용이었죠. 다행히 ‘그 시간에 119에 구조를 요청하는 게 현명하다’는 설명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302개에 불과해 신경망의
네트워크
연결구조가 상세히 밝혀져 있다. 연구팀은 이 신경망
네트워크
연결구조를 활용해 신경망에서 신경 신호가 어떻게 전파되는지 양자역학적으로 계산했다. 2년 이상 연구에 매달린 김 연구원은 “생물학적인 현상을 물리학적인 문제로 정의하는 게 가장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덜한 편이다. 일본에서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는 ‘안도감’도 한 몫 했다. 미국의 소셜
네트워크
기반 지식인 서비스 ‘쿼라(Quara)’에는 ‘왜 한국에는 노벨상 수상자가 없는가?’라는 질문이 올라와 있다. 물론 과학 분야에 한정한 얘기다. 첫 답변은 인도 캘커타대를 졸업하고 한국의 국립대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와 닿았다. 그는 “티타임을 포함해 LMB의 모든 문화와 시설, 조직은 연구자 사이의
네트워크
를 견고하게 다지기 위해 존재한다”며 “그룹별로 정해진 연구 예산은 따로 없고 모든 그룹이 필요한 만큼 나눠 쓰기 때문에 협력 연구에 장벽이 없다”고 말했다. 협업의 결과가 여러 차례 노벨상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쉽기 때문이다. 뇌에 칩 삽입해 뇌와 컴퓨터 직접 연결사이보그는 자신의 몸을 컴퓨터
네트워크
에 접속해 지식을 무한히 습득할 수 있고 전투 전략이나 악당에 대한 정보를 획득해서 멤버들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인간은 주로 시각이나 청각을 이용해 정보를 습득하지만 사이보그는 뇌와 연결된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결과를 보고했다. 다른 관측소와 달리 한국 연구팀은 남반구 전역에 수평으로 걸쳐진
네트워크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만큼 관측에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하나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있는 KMTNet의 조밀한 관측 자료는, 킬로노바의 밝기 변화를 파악하는 데 ... ...
[과학뉴스] 플라밍고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여름에는 플라밍고(홍학)가 대유행했습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분홍색 플라밍고 튜브를 탄 피서객들을 쉽게 만날 수 있었죠. 그 인기를 알고 온 것일까요. 우리나라에서 큰홍학이 포착돼 화제입니다. 큰홍학(Phoenicopterus roseus)은 홍학과 홍학 속에 속하는 대형 조류입니다. 키 110~150cm,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