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능력"(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실친’을 만들 수 있는 곳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캐릭터를 만들자, 과학덕후를 위한 굿즈를 만들자 등 아이디어가 쏟아졌지요. 저희 능력이 부족해 아직 다 진행시키지 못하고 차근차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이제, 전독위 2기를 새로 모집하려고 합니다(14쪽). 앞으로 6개월 동안 활동하며 과학동아 표지를 정하고, 기사를 평가합니다. 2023년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대개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아는 것을 똑똑하다고 말하는데 바로 이것이 일반화 능력이다. 매개변수가 늘어날수록 배운 적 없는 입력 데이터에 대해도 AI가 적절한 대답을 내놓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AI연구와 개발은 ‘클수록 좋다’는 단순한 신조에서 벗어나고 있다. 특히 구글은 매개변수를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❷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도 필수고요. 한 사육사는 “코끼리는 침팬지나 돌고래만큼 인지능력과 감정지능이 뛰어난 동물”이라며 “지능이 높은 만큼 제한된 환경 속에서 쉽게 무료해질 수 있으니 (야생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자극을 주려고 노력한다”고 했습니다. 우리가 동물원에서 흔히 볼 수 ... ...
- [이달의 책] 재료가 바꾼 인간의 감정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왼쪽과 오른쪽에서 뻗은 섬유들이 모두 좌반구에 연결돼 있었다. 생후배선이라는 놀라운 능력 덕분에 절반의 뇌로도 모든 기능을 처리한 것이다. 스마트폰에서 전자장치의 반을 자르면 작동하지 않겠지만, 인간의 뇌는 절반의 뇌가 회로를 재편해서 부족한 기능을 스스로 보충할 수 있다. 이처럼 이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stem cell)’로 분화합니다. 배아줄기세포는 모든 장기를 새로이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거나 인공 장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배아줄기세포 배양이 절대적입니다. 하지만 몇몇 인체 장기를 넘어 하나의 개체 전체를 만들고 우리 몸 밖에서 인공배양하기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경우, 힘의 근원에 대한 추가적인 설정이 필수다. 플래시가 ‘스피드 포스’라는 특별한 능력을 이용하는 것처럼. 독자위원들의 인지도가 가장 높은 건 단연 ‘워프’ 방식의 순간이동이었다. 시공간을 왜곡해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줄이는 방식으로, 문(포털)을 통과하기만 하면 멀리 떨어진 ... ...
- [가상인터뷰] 문어의 남다른 지능 비밀은 뇌 속 마이크로RNA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무척추동물임에도 복잡한 뇌와 신경계는 척추동물들과 더 닮아 있다. 지각능력, 학습능력 등 지능 역시 다른 무척추동물에 비해 매우 뛰어나다. 최근 문어와 인간 뇌의 유사점을 밝힌 독일 막스델뷔르크분자의학센터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문어의 뇌 특성을 가상인터뷰 형식으로 정리했다. ...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바탕으로 확보할 수 있는 예산 내에서 오버 스펙이 아닌 수준으로 차세대 쇄빙연구선의 능력과 규모를 책정한 것이다. 아라온호가 만든 길 차세대 쇄빙선이 걷는다 흔히 둘째는 첫째보다 키우기가 쉽다고 한다. 첫째를 낳아 기르며 좌충우돌 발생하는 일들이 경험이 되기 때문이다. 극지연과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공룡 화석 발굴 게임을 해봤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화석 발견에는 지층의 화석 매장량은 물론, 연구자의 능력과 운도 따라줘야 하죠. 특히나 한국의 중생대 퇴적암은 골격 화석을 찾기가 쉽지 않은 지층이며, 암반의 강도도 높아 주로 망치와 정, 얼음 송곳을 사용해 돌을 깨야 한다고 합니다. “실제만큼 화석을 찾기 ...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미술 등 문화적 소양이 뛰어나고 프랑스어와 영어를 모국어처럼 사용하는 데다 수학적 능력이 뛰어나 한국의 수학적 위상을 보여주고 싶어 사회자로 발탁했다”고 설명했어요. 임 교수님은 최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수학자로 주목받고 있지요. 서울대학교에서 임 교수님을 만나 그 이유를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