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비
방위
보호
방비
옹호
비호
엄호
d라이브러리
"
방어
"(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커와 대결하라! 암호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장치 역시 계속 더해지는 해킹 정보를 수시로 반영하면서 컴퓨터를 보호한다.
방어
방법
방어
방법 1 전송된 정보의 IP 주소와 위험 IP 주소 비교.
방어
방법 2 인증을 거친 뒤 통과.
방어
방법 3 백신 프로그램으로 악성 프로그램 제거.해커를 괴롭히는 최후의 보루, 암호수학해킹을 막는 보안 기술은 최신 ... ...
[환상 퍼즐여행2] 수학 기면증에 빠진 세계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중심지를 찾아보기로 했다.“병원은 어때?”“병원의
방어
선이 뚫려서 이미 환자들이 모두 병원을 탈출한 상태야.”“그럼 어디서 찾지?”이때 김 교수가 수학 기면증 변종 바이러스를 탐지하는 기계라며 장치를 내밀었다. 그리고는 지금은 아무런 표시도 하고 있지 ... ...
떼려야 뗄 수 없는 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감염을 막는 1차
방어
선때를 만드는 주범은 공기 중의 미세먼지다. 지름 10㎛(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이하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다. 이 먼지가 무생물 위에 쌓이면 그냥 먼지지만, 사람의 피부와 만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피부 표면을 덮고 있는 상피세포가 수명을 다하면 수분을 잃고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때문에 신호의 지연시간이 적어도 수백 밀리 초는 생긴다.순간적인 상황판단과 공격 및
방어
타이밍이 필요한 상황에서 완벽한 실시간 조작이 어려운 화면만 보고 전투할 수는 없다. 프로그래밍한 대로 지상 목표물을 정밀 타격할 경우에는 시간지연이 문제되지 않지만 일촉즉발의 공중전은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이미 밝혀져 있었다(아래 그림).이는 대부분 체내에 들어온 RNA 바이러스로부터 세포를
방어
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즉 바이러스의 RNA를 직접 공격해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킨다.따라서 RNA 편집이 조금 일어났다고 해서 중심원리를 정면으로 부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하지만 청 교수의 논문은 이 ... ...
김장철 영양 프로젝트 매운 맛 좀 찾아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아니고…. 세균이나 곰팡이, 곤충, 포유동물 같은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방어
물질이란다. 울라불라, 최고의 매운 맛을 보여 주마!은하수 청아, 뭘 그렇게 열심히 하고 있니?청 피에르 권에게 맞설 매운 소스를 만들고 있사옵니다. 저는 캡사이신 가루 대신 고추를 통째로 이용할 ... ...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말라리아 잡는다장내 세균을 피해 모기의 혈액으로 들어온 말라리아 기생충은 2차
방어
막에 부딪힌다. 바로 모기가 직접 만들어내는 말라리아 제거 단백질이다. 말라리아 기생충의 90%가 모기 몸 안에서 죽는다. 존스홉킨스대학교 말라리아연구소에서는 최근 얼룩날개모기의 특정 유전자가 말라리아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겨냥한 자학개그가 후보에게는 유용한 전략일 수 있다”며 “나아가 조롱을 받았을 때
방어
하기보다는 유머로 맞받아치는 전략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조롱을 받으면 고소로 대응하곤 하는 우리나라 정치판에서 더욱 유념해야 할 연구 결과다.△콜베어 리포트를 진행하는 스티븐 콜베어는 ... ...
화려한 나비 날개가 품은 독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않았고 날개와 애벌레 피부에서만 독성물질이 나왔다. 나비는 이 물질을 공격용 대신
방어
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 나비를 날개째 먹는 도마뱀붙이 같은 생물도 있는데, 연구진은 도마뱀붙이가 진화 과정에서 독성에 관한 면역 체계를 습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그러나 연구진은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결국 입자빔 무기 개발이 단기간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입자빔 무기는 이론적으로
방어
가 매우 어려운만큼 미래 전쟁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꿀 정도여서 우리도 장기적으로 관련 기술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이유는 물체에 부딪친 빛(가시광선)이 반사돼 눈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