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무"(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우리의 노력 2] 1회용품 사용을 줄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친환경 플라스틱 사용!어린이날 선물로 손꼽히는 레고! 그런데 지난 3월, 조금 특별한 레고 블록이 공개됐어요. 바로 식물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친환경 레고지요. 이번에 공개된 친환경 레고는 사탕수수로 만들어졌어요. 사탕수수에서 녹말만을 추출해 물과 섞어 압축하면 바이오 플라스틱의 ...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등 생활 및 업무 공간이, C 데크에는 선장 및 최고연구원(Chief Scientist)의 숙소와 라운지, 사무실 등이 자리 잡고 있다. D 데크는 에어컨, 공조기 등이 설치돼 있다. E 데크는 배 전체를 지휘하는 조타실이다.메인 데크 바로 아래에 자리한 세컨드 데크는 선원실, 헬스클럽, 각종 케이블을 끌어 올리는 ... ...
- Part 1. [사건의 발생] 재활용 업체, 쓰레기 수거 거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만우절이었던 지난 4월 1일, 거짓말 같은 일이 벌어집니다. 아파트 단지 쓰레기장에 재활용 업체가 ‘폐비닐과 폐플라스틱을 수거해 가지 않겠다’고 써서 붙인 것입니다. 방송에선 일반 종량제 봉투에 버리라고 하는데, 이거 괜찮은 걸까요? 재활용 쓰레기 대란, 어떻게 시작되었나?“4월 1일 ... ...
- Intro. 재활용 쓰레기 대란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최근 ‘재활용 쓰레기 대란’으로 국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아파트 단지마다 재활용 쓰레기가 산처럼 쌓여서 불편하다는 제보도 끊이지 않고 있지요. 재활용 쓰레기 대란, 도대체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사건, 사고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가는 이 기자가 직접 파헤쳐 봤습니다! ... ...
- Part 2. 재활용 쓰레기, 어디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재활용 쓰레기가 그동안 수출이 되고 있었다니…. 정말 놀라운 소식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분리수거한 재활용 쓰레기는 어떻게 처리되는 걸까요? 수출량 급감, 해결책은?일반적으로 재활용 쓰레기는 여러 과정을 거쳐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해요. 이중 우리나라에서 재활용이 잘되지 않는 ... ...
- Part 3. [우리의 노력 1] 과학으로 똑똑하게 분리수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취재 결과, 이번 재활용 쓰레기 대란은 여러 가지 요인이 합쳐져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과학계에선 이번 쓰레기 사태와 관련해 어떤 대비를 하고 있을까요? 인공지능 재활용 쓰레기통 네프론인공지능으로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는 자판기가 등장했어요. 지난 2015년 국내 벤처 ... ...
- [서울대 건축학과] 세상을 담는 공학, 건축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진로가 크게 세 분야로 갈라진다. 우선 건축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경우에는 건축설계사무소에 취직하는 게 일반적이다. 건축 이론을 전공하는 경우에는 국토연구소 등 연구소나 대학으로 진출하고, 건축 공법을 전공한 경우 건설 회사나 주택공사, 국공립연구소 등에 자리를 잡는다. 아이디어로 ... ...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구축과 실험을 주도한 이경수 전(前) 국가핵융합연구소장은 2015년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사무차장으로 선출돼 프랑스에서 ITER 구축을 이끌고 있다. 현재 황 학과장이 이끄는 연구팀도 자체 핵융합실험장치(VEST)를 보유하고 고성능 핵융합로 구현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방사선 분야에서는 ...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때문이다. 현철호전북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현재 전북지방경찰청에서 검시사무관을 맡고 있는 법곤충학 전문가다. 유병언 세모그룹 회장 변사 사건 수사에 참여해 국내 최초로 곤충을 통해 사후 경과시간을 추정했다. 순천향대, 충남대 법과학대학원, 경찰수사연수원 외래교수를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 중 전문가들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푸른빛을 내는 청색 LED입니다. 아카사키 이사무 일본 메이조대교수, 아마노 히로시 나고야대 교수(아카사키연구센터장), 나카무라 슈지 미국 UC샌타바버라 교수는 바로 이 청색 LED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공로로 201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습니다. 당시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