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사슬
철쇄
밧줄
d라이브러리
"
사슬
"(으)로 총 65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표면단백질인 HA의 구조에 달려있다. HA는 하나의 유전자지만 아미노산
사슬
로 번역된 뒤
사슬
이 둘로 잘라져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HA1과 HA2가 만나 정교한 결합을 해야 정상적인 표면단백질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바이러스는 이 부분을 자를 효소가 없기 때문에 숙주세포의 효소가 이 일을 ... ...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부분은 2개의 단일
사슬
로 분리돼 하나의 RNA
사슬
을 합성한다(전사).RNA를 합성할 때 각 DNA
사슬
은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염기를 순서대로 찾아 잇는다. 그런데 이때 RNA에서 DNA의 아데닌과 결합하는 염기는 티민이 아니라 우라실(U)이다.합성된 RNA는 핵 밖으로 나와 단백질을 만들기 위해 리보솜에 ... ...
몸속에서 일어나는 리얼리티 드라마 생물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상호작용으로 단백질 전체 모습이 형성되는 3차 구조, 그리고 두 개 이상의 폴리펩티드
사슬
이 모여 하나의 단백질을 이루는 4차 구조다. 1차 구조에서 4차 구조로 갈수록 단백질의 크기가 커지고 구조가 복잡해진다.단백질은 열이나 화학 물질에 약하기 때문에 쉽게 변성되며, 구조에 변화가 생기면 ... ...
[환경학]기후 변화가 빈곤한 ‘바다 밥상’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떨어진 조류가 물벼룩과 같은 1차 소비자를 부실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으며, 결국엔 먹이
사슬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물벼룩을 잡아먹은 작은 물고기,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은 큰 물고기가 모두 부실 체질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수산물을 섭취하는 사람도 충분한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월 16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런 양자 결맞음은
사슬
같은 분자에서 15~20개에 이르는 화학결합에 걸쳐 250fs 이상 유지됐다. 양자 결맞음이 광합성에 관여하는 천연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뿐 아니라 합성고분자에서도 관찰됨으로써 태양광 에너지를 좀 더 효율적으로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재료는 밀가루인데, 주로 녹말로 이뤄져 있다. 녹말은 포도당 분자가 끝없이 이어진
사슬
처럼 생긴 고분자다. 라면의 비밀은 면발을 기름에 한 번 튀겨 녹말 고분자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둔 것. 물론 고소한 기름 냄새가 배어 있는 점도 라면의 매력이다.라면을 끓는 물에 넣으면 물분자가 녹말 ... ...
자이언트거북의 천국 알다브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바다의 원시성을 체감했다. 알다브라 근해의 해양 생태계는 자연 그대로인 상태로, 먹이
사슬
의 최상위층이 손상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밀물 때 환초 주변은 흑기흉상어들이 우글거리고 ‘보아 스냅퍼’(bohar snapper, 도미의 일종) 떼가 산호 위를 덮고 있다. 바다 속 갈라진 바위틈엔 다금바리가 꽉꽉 ... ...
심해저 깊은 맛 해양심층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해양생태계의 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이 없으면 이를 먹고 사는 미생물도 살 수 없어 먹이
사슬
이 형성되지 않는다.결국 유광층 아래에는 이 층에서 미처 분해되지 않고 가라앉은 유기물을 먹고 사는 적은 수의 미생물만 존재한다. 그런데 수심이 깊어질수록 유기물의 양이 줄어들어 세균 같은 ... ...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분자 두 개가 서로 결합할 때 가능한 구조는 9가지가 된다”며 “아미노산 100개로 이뤄진
사슬
이 갖는 구조의 가능성은 3100 즉 1047보다도 큰 천문학적 수로 가장 안정된 구조를 찾기 위해 이 모든 경우를 계산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계산량을 줄이기 위한 여러 기법들을 개발했는데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태즈메이니아 호랑이는 캥거루와 마찬가지로 육아낭이 있는 유대류죠. 그런데 먹이
사슬
의 최정상에 자리하면서 늑대와 비슷한 형태로 진화한 것이죠. 등에 있는 줄무늬 때문에 호랑이로 불리지만 사실 해부학적으로는 개과 동물과 매우 비슷합니다.호주대륙에 번성하던 이 녀석들은 유럽인들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