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hand
손
d라이브러리
"
손바닥
"(으)로 총 448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신호 켜진 허리 건강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정지한다.4. 무릎을 세우고 양손을 머리 뒤에 대고 윗몸 일으키기를 한다.5. 편안히 누워
손바닥
을 바닥에 대고 하체를 상체 뒤로 넘긴다. 무릎을 펴고 발 끝이 땅에 닿을 정도로 몸을 구부린다.6. 엎드려 누워서 손으로 양 발목을 잡은 뒤 활 자세를 취한다.7. 엎드려 누워서 팔을 직각으로 구부린다. ... ...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각거리는 27°지만, 새벽 해가 뜨기 전 동쪽 하늘에 고도 10° 정도(한 손을 앞으로 쭉 뻗어
손바닥
을 폈을 때 검지와 새끼손가락 사이 높이)로 낮게 뜨기 때문에 관측이 쉽지 않다. 이날 금성은 수성 바로 밑 약 2° 떨어진 거리에 있다.● 화성과 토성에 다가가는 달봄기운이 완연한 3월 밤하늘에 달이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음전기(-)를 띤다. 손을 잡을 때도 한쪽이
손바닥
을 위로 보이게 하면 다른 한 쪽은
손바닥
을 아래로 향해야 맞잡을 수 있듯, 생체분자도 모양과 정전기가 상보적으로 맞아야 결합할 수 있다.생체분자의 모양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그가 1985년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생물물리학 박사 과정에 있을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되고 있다. 2007년 반도체칩에서 발생하는 열은 이미 100W/㎠을 넘어 섰다. 손톱만한 칩이
손바닥
만 한 100W 전구보다 더 뜨겁다는 얘기다.전문가들은 2010년에는 손톱만한 칩에서 1000W/㎠의 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런 추세라면 방안에 컴퓨터 한대만 켜 놓으면 ‘불타는 칩’ 때문에 난방기 없이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개인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다고 발표했지. 손은 얼핏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사람마다
손바닥
의 크기, 손가락의 길이, 손의 두께가 모두 다르단다.지문 속으로 고, 고!지문은 아주 오래 전 중국에서 사용되었지만 현대적으로 지문이 이용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아. 182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동쪽으로 치우친다. 저녁 해가 진 직후 서쪽 하늘에 고도 18° 정도(한 손을 앞으로 쭉 뻗어
손바닥
을 폈을 때 엄지와 새끼손가락 한 뼘 높이)로 낮게 뜬다 ... ...
사람 소리 구별하는 똑똑한 모래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사람
손바닥
보다도 작은 동물인 모래쥐가 사람의 소리를 알아듣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사우스앨라배마대학교의 조앤 시넛 박사팀은 모래쥐의 눈앞에 두 개의 먹이통을 놓고 실험을 했어요. 미리 녹음해 둔 사람 모음 소리를 계속 들려 주며, 특정한 모음 소리가 날 때 먹이통에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거기, 래빗이 있었다. 환자복으로도 감출 수 없을 만큼 야윈 몸이다.“래빗!”이마에
손바닥
을 얹고 불러보았지만 대답이 없었다. 깊이 잠든 듯했다.“나에요. 래빗. 내가 왔어요. 눈 좀 떠봐요. 제발!”래빗의 양볼이 움찔 떨렸다. 그리고 천천히 눈두덩이 흔들렸고 속눈썹이 올라갔다. 검은 동공이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끄떡인다. 과연 말이 되는 소리일까. 미국 사우스앨라배마대의 조앤 시넛 박사팀은
손바닥
보다 작은 동물인 모래쥐를 훈련시킨 결과 사람의 모음 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지난 11월 27일부터 12월 1일까지 열린 미국 음향학회에서 발표됐다. 시넛 박사팀은 소리를 언어로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쥐를 피해 다닐지 몰라도 과학자들은 다르다. 이화여대 생명과학부 오구택 교수는 “
손바닥
에 놓인 흰 쥐가 너무 귀엽다”고 말할 정도다. 과학자들은 왜 생쥐를 좋아할까.쥐는 유전자를 변형시키거나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기 쉽다. 생명과학분야 벤처기업인 마크로젠의 김형태 박사는 “쥐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