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업"(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신청했다. 천체사진으로 유명하다는 강좌의 선생님은 본인이 찍은 사진을 보여주며 수업을 시작했다. 찬란히 반짝이는 별들이 사진 속에 예쁘게 담겨 있었다.“별 사진을 찍기 위해 꼭 특별한 장소를 찾아가야 하는 건 아니에요. 그저 여러분이 알고 있는 가장 어두운 장소를 찾아가세요. 어떤 ... ...
- [만렙!디지털 리터러시] 검색왕이 되는 치트키 알려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디지털을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도록 어과동에선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연재를 시작했어요. 6화에선 검색 왕이 ... 우리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무엇인지 고민하며 학습자료를 만들고 수업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
- [핫이슈] 어수동 같이 읽고 놀이북 활동하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학생들이 학교에 나오지 않는 날이 많아서 우리반은 온라인으로 활동을 했어요. 원래는 수업시간에 잡지나 만화책을 보는 건 금지인데, 어수동은 읽어도 된다고 하니 친구들이 무척 좋아했지요.첫 번째 시간에는 각자 어수동을 읽을 수 있는 시간을 줬어요. 수학 동화인 ‘우주순찰대원 고딱 지’는 ... ...
- 폴리매스 히어로 회의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모두가 즐겁게 활동할 수 있는 폴리매스가 되면 좋겠습니다. 전주 온빛초5 송민재전 수업 중에 급하게 온 거라 빨리 말하고 가야 해요. 급하니까 여기 매달려서 답할게요! 저는 전주 온빛초등학교 5학년 송민재예요. 같은 학교 친구들이 폴리매스를 소개해줘서 올해 3월부터 시작했죠. 처음 ... ...
- [IBSX수학동아] 수학자는 수학세계를 탐험하는 모험가-황준묵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순서도 없이 마구잡이로 수업을 들었지만요. 이와 동시에 원래 전공이었던 물리학과 수업도 들어야해서 정신이 없었습니다. 대학원을 수학과로 진학해 더는 물리학 공부를 하지 않아도 됐을 때 홀가분한 기분을 느꼈던 기억이 납니다. 대학원 초기에는 수학 기초가 부족하다고 많이 느꼈는데, ... ...
- [수학체험실] 비틀비틀 공처럼 구르는 '스피리콘'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스피리콘은 두 개의 원뿔을 붙여 놓은 기하학적 물체로, 1969년 영국의 목수인 콜린 로버츠가 뫼비우스의 띠를 조각하던 중 만들었다고 합 ... 선생님은 대구창의융합교육원에서 파견근무를 했고, 수학 중심의 융합 수업을 하면서 학생들의 창의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합니다 ... ...
- [수학뉴스]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의 수학 학습 효과 높이려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효과 크기는 약 0.38로 나왔으며, 개입 과정에서 컴퓨터나 태블릿을 이용하는 컴퓨터 보조 수업의 효과 크기는 0.15로 가장 낮았습니다. 젠스 디에트릭슨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은 논문에서 “학교가 적극적으로 교육방식을 고민해 도입하면 학습 부진을 겪는 학생의 교육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 ...
- [이슈]팝잇, 이렇게 즐겨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스트레스 볼’이라는 촉감 장난감을 사용하게 했더니 수업 태도와 주의력, 쓰기 능력이 좋아진 사례가 있었대요. 이스비스터 교수의 설명처럼 팝잇과 같은 피젯 토이가 집중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지 직접 한번 체험해 보세요! ●팝잇으로 즐기는 ... ...
- [핫이슈] 나와 닮은 학습메이트 엘리몬과 함께 초등 스마트 학습, 엘리하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우리와 차근차근 수학을 정복해 볼까? VR로 학교 랜선 여행을!코로나19로 온라인 수업만 해 학교가 낯설다고? 그렇다면 우리와 함께 VR로 학교 랜선 여행을 떠나자! 먼저 이곳은 운동장! 손가락으로 화면을 돌려 봐. 고개를 돌리는 듯 운동장의 모습을 360°로 관찰할 수 있어. 운동장에서 무엇이 ... ...
- [기획] 현대로 이어지는 수학 명가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여성의 입학을 허용하자 에미 뇌터는 그제서야 수학과 학생의 신분으로 수업을 듣고 박사과정을 밟게 됩니다.연구 논문을 통해 많은 수학자로부터 인정을 받았을 때도 에미 뇌터는 계속해서 산을 넘어야 했습니다. 1915년 독일 괴팅겐대학교 교수가 돼 강의하려고 했지만, 여성 교수를 반기지 않는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