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상
image
그림
심상
형상
이메지
상
d라이브러리
"
이미지
"(으)로 총 1,721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 디자인 씽킹]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게임의 가치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이용해 미지수만 남기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하면 됩니다. 이때 미지수를 몬스터
이미지
로 바꿔 게임의 재미를 더했습니다. 카훗은 드래곤박스 알지브라를 1시간 30분가량 체험한 학생 중 93%가 일차방정식의 풀이법을 익혔다고 밝혔고, 2014년에는 이 게임을 통해 대수학적인 사고를 효과적으로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이름이 붙었지. 딥드림은
이미지
의 경계나 특정 패턴을 더 잘 찾기 위해 수백만 개의
이미지
를 딥러닝으로 학습했어. 딥드림이 그린 29점의 작품은 2016년 2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술품 경매에서 약 1억 1천만 원에 판매됐어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존재인지부터 직시해야 한다. 우리는 흔히 SF 영화를 포함한 대중매체를 통해 AI에 대한
이미지
를 형성하는데, 그곳의 AI는 인간과 구별되지 않는 수준의 감정 능력과 도덕적 판단 능력까지 발휘한다.하지만 현실의, 그리고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AI는 인간의 특정한 능력을 ‘흉내’낼 목적으로 ... ...
[특집] 미션2. 나뭇가지로 집을 지어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고독한 분할법으로 빵 바구니를 나눠 가진 삼총사는 이제 두 번째 편지를 열었어요. 두 번째 편지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있었어요.먹거리 문제를 해결했다면 이제 ... 채울수록 바람을 막기 좋아요. 마지막으로 나뭇잎을 이용해 나뭇가지 사이를 메워줍니다. ▲
이미지
를 크게 보려면 PDF를 ...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여기에 방대한
이미지
빅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게 되면서 합성곱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인식 AI가 사람들의 시각 능력을 뛰어넘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박쥐의 겨우내 도시살이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과거부터 ‘흡혈 동물’이라는 오해를 받은 데다 최근에는 ‘바이러스의 온상’이라는
이미지
가 추가되며 부정적이고 혐오스러운 동물로 인식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박쥐를 대신해 변명하자면, 대부분의 박쥐는 과일이나 곤충을 먹기에 흡혈과는 거리가 멀고, 바이러스는 접촉하지 않는 이상 ...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연구에서 연구팀은 광역 적외선 탐사 우주망원경 ‘와이즈(WISE)’에서 촬영한 적외선
이미지
를 분석해 95개의 새로운 갈색왜성 후보 중 75개의 갈색왜성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백야드월드 프로젝트에 참여한 시민과학자는 10만 명으로, 이들이 발견한 천체는 1500개가 넘는다. doi: 10.3847/1 ... ...
[특집] AI가 바라보는 세상은 온통 행렬!
이미지
인식 AI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안녕? 난 인공지능(AI) 수학을 알려주는 로봇 ‘아이매스(AiMath)’야! 1월호에 소개한 추천 AI로 고른 내 얼굴 어때? 잘 어울리지?이번엔 내 눈을 뜨게 해 준 AI에 대해 알려줄게. 저 창문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Part2.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질문은 사과와 오렌지 둘 다 동그랗기 때문에 불필요한 질문입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이미지
인식 시스템을 만들려면 다차원 공간에 있는 행렬 데이터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고 차원을 옮겨가면서, 효율적인 질문의 순서와 내용을 찾는 게 중요합니다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정보를 3차원으로 저장하게 되면
이미지
인식과 검색 알고리즘 등 인공지능(AI) 관련 최신 연구 분야에 활용가치가 높다고 분석했다.이 연구에 참여한 김은숙 브라운대 화학과 교수는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