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장
장롱
마켓
창자
장농
농
페이지
d라이브러리
"
장
"(으)로 총 3,731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토끼도 ‘다이너마이트’ BTS 품고 달 향한 다누리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보인다.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는 한국도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서 개발한 달 환경 관측
장
비 ‘루셈(LUSEM)’이 2024년 달로 떠날 예정이다. 기존에 관측하지 않았던 영역의 에너지를 측정한다. 다누리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면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누리의 현재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기자 산책길에 줍깅동네를 산책하며 부모님과 함께 쓰레기를 주웠어요. 은색 껌 포
장
지와 종이, 플라스틱 등의 쓰레기가 보였어요. 사람들이 아무 곳에나 쓰레기를 버리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8
장
. 절대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27은 11011으로 나타내요. 프로그램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두 변수의 값을 더해 저
장
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내부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앞서 예시로 든 프로그램 P 또한 컴퓨터 내부에서는 0과 1의 나열로 나타날 거예요. 실제 나열은 훨씬 길겠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P는 110001로 ... ...
[특집] 코딩하는 인공지능이 일자리 뺏어갈까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코파일럿 개발을 이끌었던 외게 드 무어 깃허브 리서치 부사
장
과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노코드 툴과 인공지능(AI)이 일으키는 개발자 생태계 변화에 대한 그의 생각을 물었다. Q 코파일럿이 개발자의 자리를 위협할까요?우리는 코파일럿이 개발자를 대체할 거라고 ... ...
[기획]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시선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세계는 따뜻하고 환상적이다. 하지만 그것이 하나의 문화상품으로 소비되지 않고 자폐와
장
애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다면 논의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강병철도서출판 꿈꿀자유, 서울의학서적의 대표.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소아과 전문의가 됐다. 현재 캐나다 밴쿠버에 ... ...
[스승이 말하는 허준이 교수] 겸손하고 따뜻하지만, 연구 앞에서는 밤잠 설치는 완벽주의자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완벽주의자Part2.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
을 열다!Part3.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Part4.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
을 열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허준이 교수의 연구 분야를 한마디로 말하면 ‘조합 대수기하학’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대수기하학을 통해 조합론의 문제를 해결하는 비교적 새로운 분야입니다. 조합론이란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나오는 ‘경우의 수’를 통해 익숙한 분야입니다. 예를 들면 ‘쾨니히스베르크의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중요성 허 교수는 조합론적으로 정의된 교차이론을 개발해 매트로이드 연구의 새
장
을 열었습니다. 따라서 조합론 측면에서는 너무도 자명합니다. 그래프나 매트로이드가 왜 중요하냐고 묻는 것은 인공지능 연구에서 행렬이 왜 필요하냐고 묻는 것과 같은 우문입니다. 매트로이드의 응용 분야는 ... ...
소수의 비밀에 다가가는 연구로 성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그렇다고 메이나드 교수의 연구가 좋지 않거나 유익하지 않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 역시
장
교수와 다른 방법으로 더 좋은 결과를 얻었으니까요. 그리고 메이나드 교수는 아직 어리고 앞으로 해낼 것이 많은 정수론계의 유망주인 것은 확실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메이나드 교수가 필즈상을 수상할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GPY의 업적은 놀랍게도 2013년에
장
교수와 메이나드 교수에 의해서 많이 개선됩니다.
장
교수는 GPY 체 법에 적용할 수 있다고 알려진 ‘엘리엇-핼버스탬 추측’을 부분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연속한 두 소수의 간격이 7000만 이하인 소수 쌍이 무한히 많음을 증명했습니다. 이와 달리 메이나드 교수는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