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민"(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최근에는 원전 주변 지역인 후쿠시마현 나라하마치 지역의 피난지시를 해제하며 주민들의 복귀를 권장하고 있다. 총리까지 직접 나서서 후쿠시마 농산물과 수산물이 안전하다고 홍보하는 판이다. 헤세-오네거 작가는 비판적이다. 그는 2014년 9월 후쿠시마에서 열린 국제 전문가 심포지엄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지키는 플라스마● 소각 장치생활 쓰레기 소각장은 도시의 큰 골칫거리다. 대부분의 주민들이 자신의 동네에 소각장을 짓는 걸 격렬히 반대하기 때문이다. 소각 과정에서 다이옥신과 같은 여러 가지 발암물질 기체가 만들어진다는 것이 이유다.생활 쓰레기 물질을 완전히 분해하기 위해서는 소각로 ... ...
- [News & Issue] 불법 유출물의 장례를 치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수집할 수 있다.해시값은 데이터가 갖는 고유한 값으로 주민등록번호 같은 존재다. 주민등록번호를 알면 그 사람의 주소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처럼 동영상 역시 해시값을 알고 있으면 찾기가 수월하다. “하지만 해시값이 만능해결사는 아니에요. 의뢰인이 원본 동영상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도 ...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달라고 인천시청과 인천서부경찰서에 건의했다. 안타깝게도 의견이 채택되지는 않았다.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 신호 위반을 하지 못하도록 CCTV를 설치했고, 이미 횡단보도가 너무 많아 교통체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찬은 이 연구로 수학원리탐구대회에서 2등을 하는 성과를 얻었다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사드 레이더는 바다를 향해 있지만, 후보지로 꼽히는 평택 기지 등에서는 레이더가 주민들의 머리 바로 위로 지나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레이더를 최대한 낮췄을 때(지표면과 각도 5°) 완전한 안전 거리인 5.5km에서 안전 고도는 483m에 불과하다. 사드 배치 후보지와 주거지 사이의 거리가 5. ...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만 사용한 뒤 나머지 95%의 핵연료는 땅에 묻는다. 하지만 방사선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주민이 많기 때문에 핵 폐기장 부지를 마련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에 안 교수는 “일일 방사성 물질 배출량을 따지면 화력발전소 보다 낮고, 심지어 비행기를 타고 갈 때 태양으로부터 받는 방사선 양이 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생생한 새의 상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아니라 마을 전체가 정다미 소장의 연구소나 마찬가지예요. 어린 시절부터 마을 주민들의 도움을 받아 여러 새들을 관찰하고 연구할 수 있었지요.”펠릿 속 동물 뼈는 왜 맞추는 걸까?꾸룩새 연구소는 집 앞 창고를 개조해 만들었다고 해요. 연구소에는 제비의 일생을 담은 사진 전시물과 새의 깃털,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동안 대부분의 임무를 문제 없이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조사관은, 수많은 항성 국가의 주민들은, 기계 몸체에 살고 있는 인류는 거의 실시간에 가깝게 이 광경을 지켜보고 있을 것이다.나는 상황을 중계하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는 드론 네 대와 함께 통로의 끝에 섰다. 등대 주인의 ...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사진을 참고하면 최소 6가지 메뉴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1층에는 연구원들과 지역 주민의 편의를 위해 450m2 규모의 스포츠센터와 대중강연장도 무료로 개방한다. 정기적으로 ‘크릭 챗(Crick Chat)’이라는 대중 토론 행사도 열리니 날짜를 맞춰 방문해봄직 하다.크릭 연구소에는 지난해 두 가지 ... ...
- [Tech & Fun]누가 이 고요한 마음에 다시 불을 지피는가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나머지는 법규 집행 및 관리에 쓰겠다고 명시했다. 이 법안은 담배회사의 로비로 주민 투표에서 찬성 49.8%, 반대 50.2%로 입안이 무산되긴 했지만, 계획은 고사하고 세수의 사용처조차 불분명한 우리나라와는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 담뱃값 인상 목적이 진정 국민건강증진이었다면, 금연의지를 지켜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