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드"(으)로 총 1,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바라보며 자연스럽게 두세씩 짝을 지어 문제를 풀기 시작했어요. 문제가 안 풀리면 카드 게임도 하고, 술도 한 잔씩 했어요. 이때도 이야기의 주제는 수학이라 연습장을 항상 지니고 있었죠.다음날부터 오전과 오후에 한 번씩 지금까지 연구가 얼마나 진행됐는지 발표했어요. 이런 아이디어가 있어서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점토층에 있는 물을 빼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대개 모래 기둥을 만들거나 물 흡수가 빠른 카드보드(판지)로 만든 기둥을 이용한다. 스펀지를 꾹 눌러 물을 짜내듯 기둥의 하중으로 점토층의 물을 빼내는 원리다. 이를 압밀 현상이라고 한다. 이 때 빠져나온 물은 기둥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통신 데이터를 봤을 때 동춘동, 연수동, 논현동 등의 지역에서 많이 유입됐다. 교통카드 자료 데이터를 봐도 동춘동과 연수동에 이용자들이 집중됐다. 하지만 논현동은 휴대전화 통신자료 상으로는 유입자가 세 번째로 많음에도 대중교통의 이용량은 적었다. 송도국제도시로 이동하는 논현동 ... ...
- [소프트웨어] 클래스팅으로 하나 되는 우리 반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수 있도록 도와준다.클래스팅은 최근 러닝카드란 새로운 학습 콘텐츠도 내놨다. 러닝카드는 클래스팅에서 모인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이용한 기계학습으로 분석해 적용한 교육 플랫폼이다. 학생들이 어떨 때 자발적으로 공부하는지를 알아내 개인별로 맞춤 학습 자료를 제공해준다.성공인지 ... ...
- [수학동아클리닉] 꼬리에 꼬리를 무는 부등식 도미노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붙여진 도미노가 옳은지 검토한다. 만약 문제에 대한 해가 잘못 짝지어졌다면 문제와 해 카드를 바르게 짝짓고 옳은 풀이를 적은 뒤 돌려준다. 문제와 해의 짝이 모두 맞은 팀에겐 ‘너희 조는 완벽해!’라고 쓴 다음 돌려준다.7. 전지를 돌려받은 뒤 상대방 조의 검토를 확인한다.8. 가능하다면 ... ...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있지요. 따라서 가능한 서로 다른 카드의 수는 3n장입니다. 이 중에 세트가 없는 최대 카드 수를 D(n)이라고 합시다. 그렇다면 이 D(n)이라는 값은 n이 커질 때 과연 얼마나 빨리 커질까요?한편 1993년 노가 아론과 모세 디비네르는 D(n)<2.999n이라고 추측했습니다. n이 커지면 이 값은 지금까지 밝혀진 그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새로운 대상을 찾아요. 그게 저에겐 컴퓨터 게임이지요. 요즘은 ‘하스스톤’이라는 카드게임을 하면서 그간 받았던 스트레스를 풀어요.”게임만 하기엔 재밌는 게 너무 많아 어린 시절부터 게임을 좋아한 이 교수는 대학원생 때까지는 한 시간 이상 게임을 즐겼지만, 교수가 된 다음에는 너무 많이 ... ...
- [Career] “ 공학이라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일입니다.오세영 하셨던 연구 중 어떤 게 가장 기억에 남으시나요?장우진 최근에 신용카드 회사에서 발생하는 부정행위를 적발하는 수리모형을 개발했습니다. 이런 부정행위는 금융회사에 큰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이를 ‘운영위험’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금융회사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없다고 결정을 내리고 절전모드에 들어간 것은 새벽 세 시가 넘어서였다.실습 3회차ID 카드가 찍혔고, 문이 열렸다. 윤정이 약속한 시간보다 20분이나 늦었기에, 로봇은 이미 ‘성실성’ 점수를 깎고 있던 중이었다. 문이 열리고 눈앞에 있는 윤정은 얼굴이 눈물 콧물로 범벅이 되어 있었다. 로봇의 ...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극복하고 통제감을 갖는 것은 의외로 어렵지 않다. 화분을 키우거나 직접 크리스마스카드를 만드는 등 스스로 할 수 있는 소일거리를 찾는 것이 통제감 극복에 도움이 된다(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5(12), Dec 1977, 897-902). 작은 일이라도 ‘나는 뭔가 할 수 있는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