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ck
입
목구멍
식도
아래턱
턱끝
턱뼈
d라이브러리
"
턱
"(으)로 총 67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소재로 한 미국 드라마 ‘내게 거짓말을 해봐(Lie to me)’는 코를 찡그리고(혐오감),
턱
을 들어올리는(화남) 작은 동작 하나하나에 의미를 부여해 주인공이 범죄자를 찾아내는 명작이다.김 소장은 미세표정을 이해하면 거짓말하기도 좋다고 말했다.“상대의 미세표정을 알아차리면 그의 마음을 읽을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크고 초식을 했던 원인 ‘파란트로푸스 속’도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발견된
턱
뼈에서는 파란트로푸스의 고유한 특성이 발견되지 않아 그럴 가능성은 제외됐다.연구팀은 이런 연구 결과를 종합해 이 화석이 호모 하빌리스 이전에 살았던 초기 호모 속 인류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면서 기존에 ... ...
[Knowledge] 달리기 명수 타조공룡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턱
근육이 발달하지 못했고 따라서 잘 씹지 못했을 것이다. 이빨도 없다.대신 아래
턱
이 큼직했는데, 이것은 혀가 잘 발달했다는 뜻이다. 종합하면 먹이를 빨아들여서 먹었을 가능성이 크다. 몸집은 어땠을까. 몸 길이 11m에 몸무게 6.4t의 거구였다. 등에는 마치 부채나 돛을 인 것처럼 크고 긴 구조가 ... ...
PART 5. 무엇이 매머드 왕국을 무너뜨렸나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전에 털매머드로 만든 집이 70여 채 발굴됐다. 집 한 채를 만드는 데 사용된 털매머드 아래
턱
의 숫 자는 자그마치 95개였다(위 복원 사진). 또다른 뼈는 연료로도 사용됐다. 뼈에 남 은 콜라겐과 지방 성분이 불에 잘 타는데 다, 뜨겁게 달궈진 뼈가 오랜 시간 고온을 유지하며 숯과 같은 역할을 했다. ... ...
[Hot Issue] Eaten Alive! 산 채로 아나콘다에 먹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유연한
턱
관절을 이용해 악어와 같은 큰 먹잇감도 거뜬히 삼킬 수 있다. 아나콘다의
턱
관절은 위아래로 180° 벌어질 뿐만 아니라 양 옆으로 늘어난다. 아나콘다는 동물의 뼈를 녹일 정도로 강력한 위 소화액으로 삼킨 먹이를 천천히 녹여 먹는다.로서리의 헬멧 카메라에는 아나콘다의 쩍 벌린 입 ... ...
[지식] 수학이 돌려 준 내 얼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진단과 수술 계획입니다. 의사들은 통계 분석으로 찾은 표준 얼굴과 비교했을 때 환자의
턱
이 얼마나 삐뚤어졌고 두개골 크기가 얼마나 비정상적인지 등을 진단해, 수술 방법을 결정합니다. 기본은 뼈의 크기와 위치, 얼굴의 대칭을 맞추는 것입니다. 대칭축이나 대칭면을 통해 얼굴이 대칭에서 ... ...
동물들이 싸움을 싫어하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조금 더 심각한 신체접촉 단계로 넘어간답니다.마지막으로 레슬링 단계는 두 마리가 큰
턱
을 서로 맞물린 다음 밀고 당기는 본격적인 힘겨루기예요. 가장 강도가 높으며 반드시 승패가 결정나는 공격행동이지요. 결국 승패가 결정되면 패자는 뒤로 돌아서서 도망가요. 다시 승자와 마주치더라도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
이 있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친구들은 자신의 얼굴에 얼마만큼 만족하나요? 혹시 얼굴이 너무 둥글다거나
턱
이 나왔거나, 얼굴이 조금만 갸름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친구들이 있나 ... 그래서 V라인이 아니라도 괜찮아요. 진짜 아름다운 얼굴의 조건은 바로 균형 있게 발달한 건강한
턱
이랍니다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귀엽게 걷는 펭귄이지요.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세종기지 근처에 있는 젠투펭귄과
턱
끈펭귄의 주요 서식지를 ‘펭귄마을’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극지연구소의 김정훈 박사님도 매년 남극에 가서 펭귄을 비롯한 여러 새를 관찰하고 있지요.원래는 도둑갈매기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처음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최병선 책임연구원이 말했다. 아쉬운 마음에 애꿎은 조종간만 이리저리 움직였다.‘
턱
’, 조종간에 뭔가 닿은 느낌이 들었다. 3D 그래픽 화면에서 로봇팔도 벽에 부딪혀 멈춰 있었다. 다시 한번 움직여봤다. 로봇팔이 느끼는 힘이 조종간을 타고 손에 전달됐다. “가상현실 공간에서 연습할 때는 물론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