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주를 헤엄치는 해파리의 정체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존재를 다양한 파장대의 관측을 통해 직접 확인하게 된 것도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하지
만 물의 역할을 배제하고 물고기의 삶을 이해할 수 없듯, 우주 속 은하들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선 이제 우주 공간을 채우고 있는 바다를 알아야한다.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우리 우주가 어쩌면 수많은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저도 몰랐는데 언젠가부터 머릿속으로 질문이 많이 생겨도 끝까지 물고 늘어지려고
하지
않는 습관이 생겼더라고요. 수학자가 됐는데도 이 습관 때문에 새로운 질문과 접근 방식을 떠올리기 어려웠어요. 그래서 사소한 부분을 읽더라도 계속 의심하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하려고 노력했어요. 이 ... ...
[기획] 결함에 0차원이 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유전율 크기를 바꿨습니다. 분극이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면 유전율이 낮아지고, 나란
하지
않으면 유전율이 높아진 것이죠. 유전율의 값이 달라지는 것이 ‘0차원 공허’가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기술과 이어질 수 있는 지점이 됩니다. 우리가 기존에 사용하는 메모리는 메모리 소자의 저항 크기를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했다. 소행성이 뒤집히기도 했지만, 주최측이 미리 준비해 놓은 중력 그물 덕분에 위험
하지
는 않았다. 핍은 그 와중에도 눈을 부릅떴다.“저기!”한 사람이 어두운 한 쪽을 가리켰다. 사람들이 웅성거리기 시작했다. 핍은 옆에 사람이 들고 있던 망원경을 뺏어 사람들이 가리키는 곳을 보았다. 반쯤 ... ...
[에디터노트] 처럼 되기를…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사람 멋진데!’, ‘나도 이렇게 되고 싶은데’, ‘이 사람처럼 사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지
?’, ‘어떤 목표를 세워야
하지
?’ 같은 생각을 하길 바라며 1월호를 만들었습니다. 부디 편집팀의 바람이 통하길 기대하며, 독자 여러분이 1월호를 인상 깊게 읽길 바랍니다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머릿속에 심으면 카메라가 촬영한 장면을 마치 자신의 눈으로 보듯 볼 수 있어요.
하지
만 모든 기술은 좋은 점과 나쁜 점을 동시에 갖고 있어요. 그래서 BCI 기술에도 리터러시가 필요하답니다. 만약 칩을 머릿속에 심을 때 조그마한 실수가 있거나 칩에서 사소한 오류가 발생하면 뇌에 치명적인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비해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성이 높아서 현재 가장 주목받는 수소 생산 방식이지요.
하지
만 블루수소 역시 화석연료를 사용하기에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 에너지라고 말하기는 힘들어요. 이 때문에 최근에는 그린수소를 경제적으로 생산하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답니다. 분자요리 ... ...
[수학뉴스] 인공지능도 잠이 필요하다!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스스로 여러 신호를 자유롭게 주고받도록 내버려뒀습니다. 그 결과 수면했을 때
하지
않을 때에 비해 A 분야 내용을 더 잘 기억했습니다. 인공지능이 B 분야를 학습하면서 까먹었던 A 분야 내용을 수면 상태일 때 복원한 덕분이었어요. 의도하진 않았지만 인공지능이 수면 상태에서 무작위로 여러 ... ...
[수학 체험 유랑단] 색종이 6장으로 완성한 초간단 정육면체 모빌!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육팔면체 만들기! 크기와 모양이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이뤄진 도형을 정다면체라고
하지
요? 2종류 이상의 정다각형으로 이뤄진 13개의 특별한 다면체를 ‘아르키메데스 다면체’라고 합니다. 부풀린 육팔면체는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중 하나로, 정다면체를 적당히 변형해 만들 수 있어요.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얻었다. 감귤을 제주도의 특산 작물로 추천해 제주도 경제에 큰 도움을 주기도 했다.
하지
만 우장춘의 업적은 이런 실용적 성과에 그치지 않는다. 1935년 발표한 그의 논문 ‘배추속 식물에 관한 게놈 분석’은 이른바 ‘종의 합성’이라는 대담한 이론을 실험적으로 보여 세계 생물학계에 큰 충격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