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회사내"(으)로 총 1,6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우리나라에서도 아마추어 과학자들이 활약할 기회는 있어. 최근엔 냄새나는 똥으로도 과학에 도움을 줄 수 있대. 대체 무슨 말이냐고? 한국인의 장 프로젝트, 스마일바이오미 시작!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의대 연구팀이 ‘미국 장 프로젝트’의 주요 결과를 발표했어요. 미국 장 프로 ... ...
- [Culture] 정자왕 꿈꾸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떠올랐지만, 한편에서는 임신이 잘 되지 않는 난임 환자가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난임으로 진단을 받은 사람은 2014년 20만8005명에서 2016년 21만9110명까지 꾸준히 늘었다.과거에는 여성의 생식기능 문제로 난임이 발생한다는 인식이 있었지 ... ...
- 오피스 없이도 문서 본다! 사이냅소프트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스마트폰으로 10월 급식 식단표를 보기 위해 학교 홈페이지에 접속했다. 아뿔싸, HWP 파일을 열어야 확인할 수 있단다. 오늘 점심 메뉴 하나 확인하려고 아래아한글이나 한글 뷰어 프로그램을 깔고 봐야 한다니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한글 프로그램 없이도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학교나 공 ... ...
- [서울대 건축학과] 세상을 담는 공학, 건축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담아내야 할 게 많고, 또 그것을 오랜 기간 담아내야 하는 것이 건축입니다. 건축물은 역사, 문화, 그리고 주변 사회를 용광로처럼 모두 녹여내야 합니다.”서울대 건축학과 학과장을 맡고 있는 여명석 교수는 건축, 그리고 건축물의 의미를 이같이 부여했다. 건축은 매우 보수적인 학문으로 알 ... ...
- 신과 함께? CG와 함께!수학동아 l2018년 09호
- 귀인 김수동! ‘CG옥’에 온 걸 환영합니다. 지금부터 처음 보는 세계를 맛보게 될겁니다. 나를 따라오십시오. 하지만 정신은 바짝 차려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곳에선 뭐가 진짜고 뭐가 가짜인지 알 수 없을 테니까요. ‘신과 함께1’은 남을 구하다가 죽은 소방관 ‘김자홍’이, ‘신과 함 ... ...
- [SW 기업 탐방] 선진 물류 시스템을 꿈꾼다, 메쉬코리아-부릉수학동아 l2018년 09호
- 기사님, 배송 건이 들어왔습니다. 빨리빨리요? 아뇨. 빨리 달리실 필요 없어요. 그냥 배달하는 것에만 맘 편히 집중하시면 돼요. 찾아가는 길, 시간, 배송사고? 모두 걱정 마세요. 나머지는 종합 물류 플랫폼 ‘부릉’이 다~ 알아서 할 테니까요. “무조건 빨리 배달하는 게 목표가 아니에요.” ... ...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원자력발전은 계속 이어질 겁니다. 원자핵공학을 전공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시선이 있지만, 오히려 지금 원자핵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앞으로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서울대 원자핵공학과 학과장을 맡고 있는 황용석 교수는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의 방향이 원전 축소로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015년 인공지능(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가 등장한 이후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는 ‘인공신경망을 모방한 딥러닝 기반 기계학습 기술’로 통용된다. 게임에서는 인공지능이라는 표현이 이보다 훨씬 전인 1990년대부터 쓰였다. 유저끼리 대결하는 온라인 게임이 나오기 전에는 유저가 컴퓨터 ... ...
- 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으랏챠차! 안녕, 나는 키바라고 해. 나와 수천 대의 내 친구들은 무려 100kg도 넘는 크고 무거운 선반을 이고 물류 창고를 돌아다니지. 하지만 우린 절대 부딪치지 않아. 어떻게 그게 가능하냐고? 이게 원하시는 선반인가요?현재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군집로봇은 ‘키바(KIVA)’예요. 키바는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 편집자주 - 이 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방위(Spaceguard) 프로그램’ 20주년을 맞아 최근 과학자들이 논의 중인 소행성 충돌 방어 시나리오를 토대로 집필한 SF 소설임을 알려드립니다. 박사가 근무하고 있는 연구소의 이름은 NEOT였다. 영문 명칭의 알파벳 약자를 땄을 때, 그것을 발음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