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뉴스
"
공전
"(으)로 총 423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치에 쓰이는 식품 첨가물 20종 5분만에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허용 기준 이하의 인공감미료 사카린나트륨이 일부 검출된 것을 확인했다. 식품첨가물
공전
은 식품 및 식품첨가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제조 및 규격 등을 정리해 놓은 기준서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분석법은 기존 분석법에 비해 동시에 분석 가능한 항목을 7종에서 20종으로 확대했다”며 ... ...
[이정아의 닥터스]수면 연구에 평생 바친 김린 교수가 말하는 건강한 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학문이다. 지구상 모든 생물체는 태양과 달의 영향을 받는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
하는 주기에 따라 계절이 바뀌고 지구가 자전하는 주기에 따라 낮밤이 바뀌는 것처럼 말이다. 이에 따라 곰팡이 증식이나 초파리 알 낳기나, 다람쥐 쳇바퀴 등 각 생물마다 고유한 생체리듬을 갖고 있다. ... ...
[인류 달 탐사 50년] 아폴로 계획 사상 가장 유명한 사진 '지구돋이'(1)
과학동아
l
2019.06.29
극찬을 받았지만, 사실 ‘지구돋이’라는 이름은 과학적으로 틀린 표현이다. 달은
공전
주기와 자전주기가 약 27.3일로 같아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한쪽 면만 보게 된다. 다시 말해 달에서는 지구가 뜨거나 지지 않는다는 의미다. ‘지구돋이’ 사진은 달 궤도를 도는 우주선에서 촬영했기 때문에 마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즉 20분 27초 정도 차이가 난다. 1960년 국제도량형총회의 정의는 회귀년 기준이다. 지구의
공전
을 기준으로 1초를 정의했으니 이 또한 일종의 자연표준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별 의미는 없다. 왜냐하면 지구나 태양이 우리 우주에서 아주 흔한 별과 행성이기 때문이다. 만약 지구나 태양이 우주의 ... ...
국내연구진 2063년 지구 충돌 위험 소행성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태양을 돈다. 또 태양으로부터 비슷한 거리에서 태양을 돌고 있고, 궤도면도 지구의
공전
궤도면과 비슷해 향후 소행성에 직접 무인 탐사선을 보내는 임무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발견은 한국이 보유한 KMTNet가 있어서 가능했다. 하지만 주요 부품인 카메라 CCD의 설계 수명을 거의 ... ...
“외계행성 이름을 지어주세요”…IAU 100주년 국제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지정하기도 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천문학자들은 우리 은하의 별 주변을
공전
하는 수천 개의 외계행성을 발견했다. IAU는 현재까지 연구·확인된 외계행성과 그 중심별의 대규모 표본을 신중하게 선택한 후, 국가와의 연관성 및 관측 가능성을 고려해 각 나라에서 이름을 제안할 수 있는 항목들을 ... ...
내년 휴일 115일, 올해보다 이틀 적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음력도 윤달인 윤4월이 추가되면서 총 13개월로 이뤄진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
하는 주기는 약 365.2422일로 이른바 양력으로 불리는 그레고리력상 1년 주기인 365일보다 4분의 1일이 차이가 난다. 이런 이유로 그레고리력은 4년에 한 번씩 윤년을 둔다. 음력에서도 12달의 길이는 약 354.3671일로 실제 ... ...
대안중력이론은 왜 일반상대성이론을 무너뜨리지 못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거리가 멀수록 느려진다. 하지만 은하 원반의 회전을 도플러 효과를 통해 측정해 보면
공전
속도가 일정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물리학자들은 암흑물질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눈으로 볼 순 없지만 대량의 질량을 가진 물질이 우주 곳곳에 퍼져 있다고 가정하는 이론이다. ... ...
케플러망원경 지구만 한 외계행성 18개 추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우주망원경으로 지금까지 찾아낸 행성의 개수는 4000개가 넘는다. 지금까지는 항성을
공전
하는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날 때 별빛이 감소하는 것을 보고 외계행성의 존재를 알아냈다. 하지만 이 방식으로는 지구(지름 약 1만 2756km)처럼 작은 행성을 찾기가 어렵다. 그래서 최근 독일 과학자들이 ... ...
SF까지 넘보는 대륙의 힘 '유랑지구'
2019.05.04
두 별은 태양과 좀 더 비슷하니까요. 이 두 별은 서로 가까우니 지구는 이 두 별 주위를
공전
해야 할 겁니다. 여기에 자리 잡는다면 미래의 인류는 태양 두 개가 나란히 뜨는 모습을 볼 수 있겠죠. 목성이 보여주는 장관 목성에 다가가는 지구. 미국 할리우드 영화 못지 않은 정교한 CG로 목성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