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뉴스
"
꽃
"(으)로 총 996건 검색되었습니다.
랜턴을 켜고 낮은 포복으로 탐험하는 '백룡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31
아름다움을 생생하게 간직하고 있다. 구멍을 비집고 들어가자 동굴 벽에
꽃
처럼 피어오른 동굴 산호를 비롯해 바닥에서 솟아오른 석순과 동굴천장에 매달린 종유석, 석순과 종유석이 붙어 형성된 기둥형태의 석주 등 형형색색의 동굴 형성물이 한 눈에 들어왔다. 천장에 너울거리는 동굴 커튼, ... ...
[표지로 읽는 과학]경이로운 기하학적 형태를 띠는
꽃
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11
다수의 나선이 있는 특이한 구조로 발달한다”며 “이번 연구는 프랙털 구조를 갖는
꽃
의 형태가 전체 식물 성장에서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지는지를 밝힌 것”이라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못하는 상태) 야생벼를 발견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웅성불임 벼의 암술에 재배 품종의
꽃
가루를 묻히면 1세대 잡종 씨앗(F1)이 열린다. 이렇게 얻은 잡종 볍씨가 발아해 자란 잡종벼(F1 개체)는 잡종강세로 수확량이 기존 재배 품종보다 대략 30% 더 많다. 다만 잡종벼에 열린 2세대 씨앗(F2)은 ... ...
작은멋쟁이나비, 사하라 넘고 지중해 건너 1만 4000km 이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2
아프리카 모로코에서 관찰된 작은멋쟁이나비의 모습. 오리오 마사나 제공 한반도에서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나비인 ‘작은멋쟁이나비’가 최장거리 ... 외래종이 유입되는 것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작은멋쟁이나비가
꽃
꿀을 빠는 모습이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먹을 때 크로세틴 30㎎을 섭취하는 셈이다. 흥미롭게도 크로세틴이 주성분인 사프란
꽃
추출물을 포함한 눈 영양제가 이미 나와 있다. 사프란이 시력을 개선하고 망막 건강을 유지시켜준다는 것이다. 2019년 논문의 참고문헌을 봐도 크로세틴이 망막의 혈류를 늘려 빛수용체와 망막신경절세포가 ... ...
[주말N수학]사람을 대신할 AI 비서를 뒷받침하는 확률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05.29
대신 행동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I가 인간을 대신해 식당을 예약하거나
꽃
을 선물하는 수준입니다. 전문가의 영역 넘본다 8월 29일 열린 '제1회 알파로 경진대회' 현장. 이날 대회에서 인공지능(AI)를 이용한 AI팀이 변호사 2인으로 구성된 인간 팀에 완승을 거뒀다. AZA스튜디오 제공 ... ...
지구 식생 4000년전부터 급격히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4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꽃
가루 고기구학 전문가인 박정재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는 “
꽃
가루 연구를 통해서 식물들이 기후 변화와 인간 활동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며 "현재도 식생변화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고 했다. ... ...
미, 트럼프 중단 기후변화 보고서 발간…인간 책임 첫 인정
연합뉴스
l
2021.05.13
지난 10년간 더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불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와
꽃
가루 철이 과거보다 더 일찍 시작되고 더 오래 지속되며, 폭염 현상은 1960년대보다 3배가량 더 자주 발생하고 있다고도 보고서는 꼬집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선 에어컨 사용 등이 늘면서 여름의 에너지 ... ...
식물 활용해 미세먼지 절반 줄인 버스정류장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5.12
“로즈마리나 콩고, 아몬드페페 등을 쓰는데 겨울에는 영하 10도까지도 잘 버티는
꽃
양배추를 쓴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서울 동대문구 동대문디지털플라자(DDP) 앞 시티투어 버스정류장에 상용화 제품을 설치했다. 정류장의 미세먼지 저감 성능을 측정한 결과 실외 공기 대비 미세먼지가 60%까지 ... ...
[인간 행동의 진화] 미의 기준은 각자 다르지만 동시에 같다
2021.05.02
본성이 있다. 김춘수의 싯구처럼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
이 되었다”. 일반적이고 애매한 자극은 아름다움과는 거리가 멀다. 이런 면에서 보면 아름다움은 인류의 보편적 반응이자 동시에 개별적 반응이다. 대상이 주는 아름다움은 다양한 진화적 기전으로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