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스타일
형태
종류
방식
부문
장르
뉴스
"
형식
"(으)로 총 64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일 과학홍보 담당자와 청년과학자가 바라본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한계와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07
말했다. 그는 “호주와 IBS가 공동연구를 했을 때 보도자료를 보면 우리는
형식
에 치중하나 호주는 스토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한국도 스토리에 집중하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생중계 링크 https://www.facebook.com/ibs.officialsite/videos/801053780353016/?v=801053780353016 심 본부장은 ... ...
초미세먼지 수치 정확할까…측정기 정확도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걸러내야 센서가 정확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다. 초미세먼지 측정기가 정부의
형식
승인을 얻기 위해서는 입경분리장치의 분리 효율이 2.5마이크로미터에서 50±5%를 만족시켜야 한다. 초미세먼지를 거르는 비율이 약 50%는 돼야 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지금까지 실제 먼지를 이용해 ... ...
“인간 중심 융합연구 비전 제시”…4일 미래융합포럼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주제로 국립중앙과학관(창의나래관)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이번 전시는 스토리텔링
형식
의 전시와 체험을 통해 초·중학생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고, 과학기술이 만들어 갈 전통문화의 새로운 미래를 발견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현대차 포니·동서식품 믹스커피…한국의 성장 이뤄낸 '아이콘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한국공학한림원은 이 책의 내용 가운데 핵심을 대중에게도 알리기 위해 이야기
형식
을 차용한 대중서인 꿈이 만든 나라를 추가로 펴냈다. 꿈이 만든 나라에는 한국 산업을 이끈 100개 장면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기획 TF와 산업별 발굴위원회가 1년 이상 발굴한 결과로, ... ...
"청중을 모르는 과학자의 강연, 불을 끈 채 다트 던지는 격"
동아사이언스
l
2019.11.28
확률밀도함수를 ‘PDF’로 설명해도 이를 알아듣겠지만 대중은 컴퓨터 파일
형식
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경향’이나 ‘긍정적 영향’ 같은 단어도 쓰지 말 것을 권했다. 대신 비유를 적절히 섞어 내용이 완벽히 맞지 않더라도 듣는 사람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하라고 충고했다. 요점을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정신질환 자가진단의 함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1.20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윤현철 고대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병원에서도 이런
형식
의 설문 테스트를 활용한다"며 "하지만 이외에 환자와의 면담 등 수많은 도구를 통해 병을 진단한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병원에서 쓰는 설문 문항은 얼마나 병의 위험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받았고 어느 날 대학 학과 선배와 점심을 하다 책 내용을 얘기한 뒤 “과학카페에 서평
형식
으로 소개하면 어떨까요?”라고 말했다가 “자제하는 게 낫지 않을까?”라는 조언을 듣고 접었다. 그런데 지난달 약학자 박성규 박사가 펴낸 책 ‘약국에 없는 약 이야기’를 읽다가 5장 ‘각성과 환각 ... ...
호원경 교수 "野 집단연구비 감액 추진 재고해야" 브릭 기고문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2020년 기초연구비 예산 감액 의견을 논의할 국회 예산조정소위원회 의원들에게 보내는
형식
으로 작성했다. 브릭 페이지 캡쳐 집단연구는 이와 달리 다른 연구자와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과제다. 기초연구실사업이 경우 3~4명의 소규모 집단 연구를 지원한다. 2020년에는 특히 새로운 분야와 ... ...
해커 잡는 AI 플랫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이 플랫폼 기술은 특히 사이버 공격처럼 정해진
형식
이 아닌 비정형 구조를 보이는 정보를 학습하는 데 장점이 있다. 원본 데이터가 갖고 있는 시공간 정보를 표현하는 특징을 무한대로 정의·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AI모델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 ...
"과학자는 작은 발견의 기쁨 중시해야" 노벨상 수상자 케일린 교수 방한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있다. 시간 관리를 더 철저히 해야겠다고 다짐했다”고 말했다. 그는 “노벨상은 하나의
형식
일 뿐이지만, 젊은 후학에게 ‘열심히 연구하는 게 인류 복지와 삶의 질을 높이는 가치있는 일이라는 것을 전달하는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