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스페셜
"
관측
"(으)로 총 1,04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가 화산 폭발이 남긴 과학의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기상청은 “충격파가 퍼져나가면서 일시적으로 기압이 오르는 현상이 전 세계에서
관측
됐다”고 밝혔다. ○ 기상해일과 화산 산사태 쓰나미가 동시 발생 가능성 조금 절충된 해석도 나왔다. 김 교수는 “화산 분출 이후 섬의 일부분이 사라진 점을 보면 폭발 당시 산사태가 나면서 쓰나미가 ... ...
"달의 뒤편은 생각보다 단단했다"…인류 첫 달 후면 탐사로버 '옥토끼2'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계획’의 착륙 후보지를 찾는 임무다. 달의 뒷면인 영구음영지역은 지구에서
관측
하기 어렵다. 물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돼 미래 주요 착륙 후보지로 꼽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예정대로 8월 KPLO가 발사되면 12월 달에 도착해 점검을 거친 후 1년간 달 궤도를 돌며 달 탐사 임무를 수행한다”며 ... ...
[과학게시판] 중앙과학관, 제임스웹우주망원경 팝업 전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웹망원경의 분리, 이동, 전개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동영상을 볼 수 있다. 웹망원경의
관측
장비와 과학미션, 허블우주망원경과의 차이점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소형모델과 인포그래픽도 마련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기후변화대응 전담기관’ 현판 제막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불확정성 원리를 둘러싼 논란
2022.01.20
사용하면 슬릿의 위치에 대한 불확정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어떻게든 정확한 운동량을
관측
하기 어렵다. 또한 슬릿의 위치에 대한 불확정성이 커질수록 전자가 두 번째 이중슬릿의 어느 틈으로 지나갔는지를 판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경우 운동량의 불확정성은 충분히 작아질 수 있어서 ... ...
이재명 “동학군 2만7000명 전멸 사건 과학기술 차이에서 비롯해…전환적 성장 핵심은 과학기술 ”
동아사이언스
l
2022.01.19
그대로 활용하고 10년 이내에 원자력 발전 단가가 재생에너지 단가를 역전하게 된다는
관측
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권 교체시 출연연구기관 기관장 교체 등 과학기술 분야 인사에 대해 이 후보는 “결국 차이는 실행 여부에서 갈릴 것인데 그렇다면 어떻게 믿냐고 ... ...
[대선 후보 과기정책]이재명 "과기부총리제 부활·달 착륙 완성"…"박정희 리더십도 배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9
10년 정도 걸리는데 10년 이내에 원자력 발전 단가가 재생에너지 단가를 역전하게 된다는
관측
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좀 지켜봐야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건설이 중단된 신한울 3·4호기와 관련해 “이것은 설계 중에 중단된 것이기 때문에 '건설 중'인 것에 포함되느냐 아니면 '계획 단계'니 안 ... ...
파우치 "오미크론이 엔데믹 전환점 될지는 답하기 어려운 문제"
연합뉴스
l
2022.01.18
일종의 자연면역 효과를 내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의 종식을 앞당길 수 있다는
관측
이 나오지만 아직 이를 단언하기는 이르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파우치 소장은 "나는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 하지만 이는 기존 변이의 면역 반응을 회피하는 또 다른 변이가 나타나지 않을 때만 그렇게 될 ... ...
IBS 7개 연구단 성과평가 결과 2개 연구단 문 닫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4
지하실험 연구단은 암흑물질 탐색 실험을 본격 시작했으며, 기존에 이탈리아에서
관측
한 신호가 암흑물질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연구결과를 2018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것이 주요 성과로 꼽혔다. 나노의학 연구단은 2020년 자기장을 이용해 자유롭게 움직이는 동물의 뇌운동신경을 ... ...
폭 1㎞ 소행성 19일 오전 지구 근접 통과…충돌 가능성은 없어
연합뉴스
l
2022.01.12
미국 동부시간 기준) 지구를 비켜 간 3122 플로렌스(1981 ET3)는 폭이 4~8.8㎞에 달하는 것으로
관측
됐다. 이 소행성은 2057년 10월 2일 다시 지구를 지나간다. 현재 NASA는 지구의 소행성 충돌을 막기 위한 프로젝트인 '쌍(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을 진행 중이다. 이는 6천600만년 전 공룡 대멸종과 ... ...
최대 이심률 타원 궤도 가진 아(亞)해왕성급 외계행성
관측
연합뉴스
l
2022.01.10
수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항성이 시선방향으로 움직일 때의 속도를 측정하는 등 추가
관측
을 통해 이심률을 정확히 확인하고 천체면 통과 방식으로 찾아내지 못한 다른 행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팀은 또 우주 배치가 진행 중인 차세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