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스페셜
"
모양
"(으)로 총 735건 검색되었습니다.
2세대 코로나 백신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2
이런 변화를 막아야 백신의 효과를 끌어올릴 수 있다. 백신을 맞고 형성된 항체가 튤립
모양
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찾아다니기 때문이다. 단백질 아미노산의 일종인 프롤린은 이런 변화를 막는 역할을 한다. 프롤린을 넣은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물질로 백신을 만들면 항체가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 ...
5일부터 출입명부 일행 모두 작성하세요…실내 다중이용시설·사업장 음식 섭취 제한
동아사이언스
l
2021.04.04
박물관, 도서관, 경륜·경마장 등에서 음식을 먹을 수 없다. 다만 PC방의 경우 ‘ㄷ’자
모양
의 칸막이가 있으면 음식섭취를 허용했다. 또 별도 식사 공간이 있는 키즈카페와 이용 시간이 긴 국제회의장은 예외적으로 음식 섭취가 가능하다. 다중이용시설과 사업장은 모든 이용자의 증상을 ... ...
[랩큐멘터리]수학과 컴퓨터과학이 여는 촉매와 소재의 신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1.04.02
중간에 생성되는 물질을 알기 어렵다. 과학자들은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입자의
모양
, 움직임, 결합력, 안정성 등을 수학 방정식으로 나타낸 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는 ‘계산화학’ 기법을 이용해 화학반응을 예측하고 분석한다. 화학공학과 한정우 교수가 이끄는 계산촉매 및 ... ...
[사이언스N사피엔스]시간과 공간이 아닌 시공간
2021.04.01
공간을 축으로 한 그래프로 그리면 기울기가 빛의 속력(c)인 원뿔 두 개가 머리를 맞댄
모양
이 나온다. 이 그래프는 빛에 의해 만들어진 원뿔처럼 생겼다고 해서 ‘빛원뿔’이라고 불린다. 동아사이언스DB 특수상대성이론의 이런 기묘해 보이는 결과들 때문에 예전부터 이와 관련한 수많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김치의 진정한 세계화'를 위한 전략
2021.03.31
중국 것이라고 우기고 있다. 심지어 민족시인 윤동주도 ‘중국 조선족’으로 둔갑시키는
모양
이다. 물론 민주화·세계화를 꿈꾸는 21세기의 지구촌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부끄럽고 퇴행적인 행태다. 중국의 거친 동북공정과 일본 극우파의 혐한에는 단호하고 확실하게 대응해야 한다. 한 치의 ... ...
NASA "소행성 '아포피스' 100년간 충돌 가능성 없다"…문 대통령 탐사계획 밝힌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3.28
수 있었다”고 말했다. 천문학자들은 소행성의 궤도 외에도 레이더 자료에서 소행성의
모양
과 회전 속도, 축 등을 분석하고 있다. 아포피스는 땅콩처럼 두 개의 천체가 붙은 형태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NASA에 따르면 길이가 200m가 넘는 소행성 중 6분의 1은 두 개의 천체가 붙은 형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수정란이 만들어진다. 수정란은 자궁에 착상하기 전 약 수 백개의 세포로 분열해 공
모양
의 세포 덩어리인 '배반포'가 된다. 배반포는 신체를 구성하는 각종 세포로 분화하는 일종의 '씨앗'이므로 실험실에서 배반포를 기를 수 있으면 불임이나 배아나 태아가 사망하는 임신 손실의 원인을 알아내는 ... ...
화성 하늘에 첫 헬기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채 장착돼 함께 착륙했다. 퍼시비어런스는 21일 인지뉴이티를 보호하고 있던 기타케이스
모양
의 덮개를 벗겨내며 인지뉴이티 시험이 곧 시작될 예정임을 알렸다. 퍼시비어런스는 현재 인지뉴이티가 비행을 시도하는 비행장으로 이동중이다. 인지뉴이티의 비행장으로 선정된 지역이다. 로버가 ... ...
지구 두 차례 위협한 소행성 자전 속도 빨라지고 있다…충돌 위험 커질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8.5분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소행성”이라며 “긴축이 15m, 짧은축이 8m인 찌그러진 감자
모양
을 하고 있다는 사실도 처음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천문연이 추진 중이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아포피스는 2029년 4월 14일 지구에서 매우 가까운 3만1000km 떨어진 지점을 ... ...
초음파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부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9가 얼마나 변형되는지 비교했다. 이 모델은 구
모양
의 바이러스 몸통에 뒤집힌 원뿔
모양
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100개 달려있고 하나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정육각형이 둘러싸고 정육각형을 다시 정팔각형, 정십각형이 둘러싼 형태로 분포돼 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각 도형의 꼭짓점에 붙어있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