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d라이브러리
"
수상
"(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경비 시스템 시공을 초월한 전자 전쟁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백 80시간 연속하여 테이프 교환없이 자동으로 녹화 가능하게 되었다.뿐만아니라 만일 특
수상
황이 발생했다면 그 부분을 즉시 찾아서 화면을 재생하여 자세히 관찰할 수 있을 뿐아니라 이것을 영상기록장치(Digital Image Recorder)를 활용하여 사진 자체를 인쇄해줄 수도 있다.마이크로컴퓨터가 열어준 ... ...
PART1 내일의 TV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디지탈TV를 발매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기존의 방송방식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수상
기측에서 메모리와 디지탈회로를 사용하여 영상신호를 일단 메모리에 기억시킨 후 기존주사선 사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종래보다 필드내 주사선의 수가 2배로 늘어나서 훨씬 섬세한 화면재생이 가능하다.이와 같이 ... ...
제8회 전국학생과학 발명품 경진대회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출품한 김호영 군(대구 경운중학교 2년)이 각각 대상을 차지했다.그런데 올해 대통령상
수상
자 김병주군(부산전자공고)을 지도한 지도 교사 정태열 씨는 지난 5회 때 대상을 차지한 안창호 군을 지도한 지도 교사로서, 정 교사는 두 번째로 해외 견학의 영광을 갖게 되었다.특히 이 자리를 빌어 ... ...
소련 수소폭탄의 아버지 안드레이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모스크바 검찰청으로 호송했다. 검찰차장 ‘알렉산더 레쿤토프’는 사하로프에게 소련
수상
레오니드 브레즈네프의 명령을 읽어 내려 갔다. 그 내용은 소련 ‘수소폭탄의 아버지’인 사하로프에게 지난 날 주었던 일체의 명예를 박탈한다는 것이었다. 그중에는 소련 최고의 민간훈장인 3개의 ... ...
물질의 근본을 밝힌다 입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그리고 버클리로렌스 연구소의 가속기 설계분야에 김광제박사, 발진기분야에 해군
수상
무기 센터의 남궁원박사와 엄한섭박사 등이 현역으로 활약하고 있다.서울대 공대의 자체개발 가속기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가속기 그룹이 제작한 반데그라프 가속기는 자력으로 제작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 ...
PART2 사무자동화(OA) 서류없는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및 사용자간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갖추고 추진되고 있다.이용자는 전화회선, 텔레비젼
수상
기와 어댑터를 이용하고 정보내용에 따라서 기기를 선택한다.현재 CAPTAIN이 취급하고 있는 정보 내용의 서비스는 (표1)과 같다. 정보제공자의 범위가 넓어지고 이용자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서 서비스의 ... ...
올해의 노벨과학상 8명의 과학자가 영예차지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함께 영국으로 이주, ‘맨체스터’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84년‘울프’화학상
수상
자.52년 캐나다 ‘오타와’로 건너간 뒤 캐나다 국립과학연구협의회에서 연구활동을 했고 54년에는 미국 프린스턴대학 연구교수로 일했으며 56년부터는 다시 캐나다로 가 터론토 대학에서 화학교수로 ... ...
생약연구의 본산, 유전공학연구까지 서울대 생약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천연약물을 개발하여 그 활용을 위한 기초와 응용에 관한것을 연구하는 곳이 서울대학교 생약연구소(소장 지형준박사·생약학)이다.우리 ... 빨라진다.연구소 안을 한바퀴 돌며 설명을 듣고나니 이런 연구기관에서 언젠가 노벨상
수상
자가 배출될 날이 있겠다는 뿌듯한 기대를 갖게 되었다 ... ...
PART ③ 막대한 하수처리수의 방류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상수원수2급수질이 유지되어 어족의 서식에 지장이 없게 될 뿐 아니라 수영 등의
수상
이용에 장해가 없게 될 것이다. 한편 한강종합개발구간의 수역은 어느정도 수질이 개선될 것이 예상되나 하수관거말단인 서울댐 이하는 하수처리를 현 수준으로 완벽하게 처리한다 하더라도 방류기준인 BOD 30ppm ... ...
PART 2 기억구조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현상이 해마에서 발견되었다. 둘째는 전달물질을 받아들이는 수용기의 증가. 세째는
수상
돌기의 앞에 붙은 시냅스를 가시라고 하는데, 이 가시가 기억할 때 수축되지 않는가 생각된다. 가시는 작은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전기저항이 대단히 크지만 수축되면 저항이 낮아져 전류가 잘 흐르게 된다는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