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39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 보호막 뚫는 항암
나노
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12.11
세포외기질을 분해할 수 있는 인체 유래 효소인 PH20을, 주머니 모양을 하고 있는 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세포 밖 기관 ‘엑소좀’에 결합시킨 형태다. PH20 효소와 엑소좀 모두 인체 내에서 분비되는 물질이다. PH20 효소는 정자가 난자에 들어갈 때 세포막 표면을 뚫는 단백질이다. ... ...
DNA
나노
구조물로 그린 모나리자 미소
동아사이언스
l
2017.12.10
펜잉 박사팀도 같은 날 벽돌 모양으로 쪼갠 DNA 가닥을 쌓는 방식으로 3차원의 DNA
나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성공해 그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실었다. 연구팀은 약 32개의 핵산 단위로 자른 DNA 조간 1만 개로 곰인형 모양의 구조물을 쌓았다. 펜잉 박사는 “벽돌쌓기 방식을 이용하면 향후 3차원 공간의 ... ...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12.07
국제 공동연구팀이 파랑비늘돔(①)의 이빨을 X선으로 분석했다(②). 그 결과 미세한 섬유들이 복잡하게 꼬여 있어 단단하고 마모가 잘 일어나지 않 ... 모방해 새로운 재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 11월 15일자에 실렸다. doi:10.1021/acsnano.7b0504 ... ...
버려지는 양파껍질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12.05
공동으로 양파 껍질을 사용해 전력 효율이 높은 압전소자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
나노
에너지’ 12월호에 발표했다. 압전소자는 힘이나 자극이 가해질 때 압력을 전기로 바꿔 주는 소자를 말한다. 몸에 부착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등에 활용할 수 있지만 핵심 소재가 유해물질이라는 문제가 ... ...
급속 충전, 방전 반복해도 끄떡없는 새로운 배터리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05
활동을 방해해 성능이 금방 떨어지는 약점이 있었다. 오 책임연구원팀은 이 재료에 1~2nm(
나노
미터, 10억 분의 1m) 두께의 표면층을 코팅해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코팅한 표면층은 이온을 잘 전달하는 지르코늄으로 돼 있어, 리튬 이온이 잘 움직이도록 도와 전기 저장 성능을 지속시킨다. 연구팀은 ... ...
햇빛 받아 이산화탄소로 연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12.04
생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효율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만든 광
나노
촉매를 사용하면 기존 방법보다 이산화탄소를 메탄으로 바꾸는 활성도가 수백 배 증가한다. 특히 이 방법은 태양광에너지를 직접 저장하는 방식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태양전지에서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해 ... ...
[사이언스 모션] 연구 정량평가 만족하십니까? 동료평가 첫 시도
동아사이언스
l
2017.11.30
잠재력과 의미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에 평가를 받은 IBS
나노
입자연구단의 현택환 단장(서울대 화학생명공학부 석좌교수)은 “평가위원 대부분이 이 분야의 저명 학자라 평가가 공정했고, 평가를 받은 경험 자체가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5년 만에 첫 평가를 ... ...
[
나노
영챌린지 2017] 물리학도들의 양자컴퓨터 도전기
과학동아
l
2017.11.30
한국
나노
기술원 전문가들이 멘토로 나섰다. 아주대 팀은 수원에 위치한 한국
나노
기술원에서 아이디어를 검증해 볼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만들고 특성을 측정했다. 결과는 절반의 성공이었다.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로 사용할 가능성을 확인하려면 원하는 특성이 80%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나야 ... ...
[
나노
영챌린지 2017] 뇌처럼 작동하는 컴퓨터를 위한 입체 메모리
과학동아
l
2017.11.30
만들어서 아이디어대로 전압에 의해
나노
막대가 움직이는 것을 확인했다. 현재는
나노
막대를 이용한 광스위치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지를 확인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심사를 맡은 신 책임연구원은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는 아니지만 광스위치가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로 ... ...
소중한 내 스마트폰 렌즈, 드디어 얇아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1.28
자체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렌즈가 개발됐다. 김튼튼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
구조물리연구단 연구위원과 민범기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두께가 사람의 머리카락과 비슷한 0.025mm에 불과한 얇은 렌즈를 개발해 그 결과를 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스’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