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구글 딥마인드, 의사보다 빨리 신장질환 진단하는 AI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앞으로 AI가 환자의 부작용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
데
이터에서 여성의 비율이 6.38%로 낮다는 한계 등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doi: 10.1038/s41586-019-1390-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인식한다. 매운맛은 맛이라기보다는 혀가 아프다고 보내는 신호인 셈이다.그런
데
인간의 뇌는 통증을 느끼면 이를 가라앉히기 위해 엔돌핀이라는 호르몬을 내보낸다. 이 호르몬이 모르핀 같은 마약성 진통제 역할을 한다. 마라토너들이 장시간 달릴 때 느끼는 쾌감인 ‘러너스 하이(runner’s high)’ ... ...
프로젝트 밴드 닥터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계는 엔트로피가 감소하지 않는다는 법칙이다. 그는 “언젠가는 우주도 무질서해질 텐
데
, 주어진 오늘 하루를 열심히 살자는 내용”이라고 귀띔했다. 그는 “전기를 주제로 한 ‘저항’이라는 곡도 계획 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안 교사는 닥터스뿐만 아니라 원래 소속 밴드인 ‘더 ... ...
[포토뉴스] 자연재해를 설명하는 수학 법칙 발견!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패턴을 파악하면 앞으로 벌어질 사건에 대비할 수 있는
데
요, 최근 통계 분석으로 다양한 자연재해를 수학 법칙으로 설명한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스페인 바르셀로나자치대학교 수학연구센터 연구팀은 화산 폭발과 지진, 허리케인, 산불, 운석 충돌, 그리고 지반 침하 같은 현상의 발생 빈도와 ... ...
[수학뉴스] 물고기의 움직임 포착해 해양 생태계 지킨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데
도움이 된다는 것도 알아냈습니다. 보드 교수는 “생태계 보존을 위해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7월 12일자에 게재됐습니다. ... ...
산불이 매년 찾아오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영웅들의 활약 덕분에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군요. 그런
데
봄철마다 강원도에 큰 산불이 끊이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건조와 강풍이 불을 키운다‘금일 동해안 전지역 대형 ... 커지는 거예요. 용어정리평년: 30년 동안 관측한 값의 평균비열: 어떤 물질이 1g을 1℃만큼 올리는
데
필요한 ... ...
[가상인터뷰] 수원청개구리를 지켜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이끈 장 교수와 볼체 박사는 우리의 서식지 중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이 현재 한 군
데
도 없다면서 보호구역 지정의 필요성을 강조했어. 일반 청개구리는 4~5월쯤 논이나 습지에서 짝을 만나 알을 낳곤 가을철 산으로 이동해. 초겨울 무렵엔 상대적으로 따뜻한 땅속에 들어가 겨울잠에 들지. 하지만 ... ...
[과학뉴스] 피부 속 통증 느끼는 새 감각기관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스웨덴 연구팀이 감각신경 외에 피부에서 통증을 인식하는 새로운 형태의 감각기관을 발견했다. 패트릭 언포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 자극을 인식하는
데
관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만성 통증의 원인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126/science.aax645 ... ...
[과학뉴스] 걷기, 달리기 모두 되는 ‘아이언맨 슈트’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소방관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웨어러블 로봇은 여럿 개발됐다. 하지만 무게가 많이 나가는
데
다 부피가 커 착용자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방해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걷기와 달리기의 메커니즘이 달라 두 동작을 모두 효율적으로 보조하는 로봇을 제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걷기와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전공으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돌연 의대로 진학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짜’
데
이터를 이용해 알고리즘을 짜보고 싶다는 목표가 생겨서다. 그는 “앞으로 여성에게만 나타나는 유전적 변이를 연구해보고 싶다”며 새로운 목표를 밝혔다. 출산과 같은 신체 변화가 어떤 후성유전적 유전자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