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상
제일
극상
절정
최선
첫째
일등
d라이브러리
"
최고
"(으)로 총 4,51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조선공학계
최고
의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
최고
’의 걸림돌이 될 수 없다 “요트처럼 아름다운 배를 만드는 게 꿈이었지만 지금은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설계하고 있어요.” 대우조선해양(주) 선형연구개발팀의 이연승(39) 연구원은 한국 조선공학계 최초의 여성 박사다.그는 부산대 대학원에 진학할 때도 조선공학 분야에서 최초의 여자 ... ...
'ID+IM'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디자인의 원천은 학창시절부터 정평이 난 배 교수의 감각에 있다. 패션 분야의 미국
최고
명문학교 파슨스디자인스쿨을 다닌 그는 졸업하던 해인 1997년에 미국 전체 디자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진대회에서 1등을 차지했다.출품작은 인체를 형상화한 오디오 시스템. 배 교수는 “심장과 갈비뼈, ... ...
거미줄 유전자의 비밀이 풀리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남았다그는 이것을 연소(燃燒, phlogiston)라고 명명했다92년 질소를 발견했으며 94년에는
최고
·최저온도계를 고안하는 등 화학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 1700~1782 스위스의 이론물리학자 · 수학자 요한 베르누이의 차남 네덜란드의 그로닝겐 태생 1725년부터 러시아의 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45억년), 토륨(140억년)처럼 반감기가 긴 방사성원소를 발견했다. 두 원소의 비를 이용해
최고
령별의 나이를 알아냈다. 우주기네스3. 팽이처럼 납작한 별, 행성만 한 별 한방 먹은 기네스측이 반격에 나선다. “우주에서 가장 납작한 별이 뭔지 아시오? 가장 작은 별은?” 통큰그룹이 조용하자 ... ...
PART4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은 석탄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이산화탄소다. 전 세계 석탄화력발전소는 70%가 지은 지 20년 이상 됐으며 효율은
최고
39%에 불과하다. 낡은 발전소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매년 약 39억톤에 이른다. 교토의정서가 발효된 현 체제에서 이산화탄소는 ‘흥행참패의 보증수표’다.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한다는 ... ...
두뇌계발게임 한자리에! “모여라! 과학퍼즐의 지존”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뽑아‘올해의 보드게임상’을 수여한다. 1979년부터 선정한 이 상은 게임업계에서
최고
의 권위를 자랑한다. 그 중‘SDJ’가 인정한 세계 3대 보드게임을 소개한다.루미큐브1930년대 초 이스라엘에서 개발한 보드게임이다. 자신이 받은 14개의 타일을 다른 사람보다 먼저 바닥에 내려놓은 사람이 ... ...
컴퓨터로 공기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채취해 질량분석이온빔가속기로 분석한 결과 불상이 9세기 것임을 확인했다. 국내
최고
(最古)의 목조불상이 탄생하는 순간이었다.그런데 문제는 그 때부터였다. 오래된 불상을 보존하기 위해 비로전을 새로 지을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해인사가 어떤 곳이던가. 국보 32호인 팔만대장경이 600년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말했다. 오늘 밤에도 그의 연구실에 불이 꺼지지 않는 이유다. 비닐하우스에서 키운
최고
과학자의 꿈 어린 시절을 묻자 유룡 교수는 비닐하우스에서 일한 기억을 풀어냈다. “일손이 부족했죠. 일용직 인부를 고용하는 요즘과는 상황이 완전히 달랐습니다. 어린이라도 해야 할 몫이 있었어요.”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풀이야. 하지만 내가 하는 일도 만만치 않을걸. 참숯에 뒤지지 않을 만큼 나의 숯도
최고
라구. 산림청에서 대나무 숯의 7대 효과를 발표했을 정도로 효과가 다양하지. 또 나의 싹인 죽순은 혈압을 내리고 피부염에도 효과가 있어. 죽순은 다양한 요리에 들어가는 필수 재료이기도 하단다.우리가 ... ...
날아다니는 과학상자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154~189층(705~950m)에 이를 전망이다. 정확한 건물의 높이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세계
최고
층 건물의 왕좌를 호락호락 내놓지 않겠다는 속내다.고층건물 ‘대동맥’초고층 건물이 중력을 이기고 우뚝 솟기 위해서는 ‘대동맥’ 격인 엘리베이터의 속도도 함께 빨라져야 한다. 현재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