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8,59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07
허 교수는 최근 허파꽈리 칩을 활용해 항암제의 부작용을 줄이는 단백질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주인공은 바로 항암제 IL-2다. 이 항암제는 신장암이나 피부암에 효과가 있지만 부작용으로 폐에 물이 차는 폐부종이 나타난다. 혈관 내 조직이 상하면서 혈액이나 혈청이 허파꽈리로 유입돼 폐에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07
나온다. 핵심 원리는 거북의 몸에 달린 ‘순·역자극 장치’다. 이 장치는 장애물이 없는
데
장애물이 있는 것처럼 동물을 속인다. 가짜 장애물을 피하려는 동물의 본능을 이용해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즉 사람이나 동물은 앞에 전봇대가 나타나면 순간적으로 피한다. 이처럼 거북이에게 ... ...
마이클 펠프스 팔 동작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07
발표했다.그 결과 스컬링 형태 영법이 양력을 발생시켜 몸이 앞으로 빨리 나가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맞지만 유체역학적 관점에서 불완전한 영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을 이끈 미탈 교수는 “스컬링 동작을 과하게 하면 양력과 물을 잡아당기는 힘을 오히려 모두 감소시킨다”고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07
환경과 먹이의 크기, 움직임, 심지어 질감까지도 느낄 수 있지. 보통 박쥐가 이 정도인
데
다른 박쥐보다 청력이 더 예민한 작은갈색박쥐는 얼마나 세밀하게 주변 환경을 파악하겠어. 모기 잡는 건 약과야. 머리카락보다 가느다란 물체도 슥슥~, 민첩하게 피한다니깐. 물고기가 만들어내는 물결파장을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과학동아
l
201207
일에서 시작한다. 언제 필요할지 모르는 카드영수증이나 고지서 등을 한참이 지났는
데
도 어딘가 구석에 모아 놓는 일부터 시작해서, 재활용 센터에서 눈에 띈 쓸 만한 가구나 소품을 모으거나 이미 완전히 망가져서 고칠 수도 없는 전자제품이나 작아서 입을 수도 없는 옷들을 버리지 못하고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07
또는 ‘쌍성주위행성’이라고 한다) 두 가지가 있다. 쌍성 태양계의 지구도 이 가운
데
하나의 궤도를 택할 것이다.문제는 항성의 온도가 서로 달라 공전 위치마다 온도가 달라진다는 점이다. 지구는 더웠다 추웠다 정신 없이 환경이 바뀐다. 2009년 세계 최초로 P타입 쌍성계 행성을 발견한 이재우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07
들어있는 테이프.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한 섬모가 촘촘히 박혀 있다. 분자 사이에 반
데
르발스힘이 작용해 옆으로 잡아당길 때 잘 안떨어진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베껴야 사는 과학! 생체모방의 세계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07
‘한국, 창조론자 요구에 항복하다(South Korea surrenders to creationist demands)’.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 6월 7일자에 실린 기사의 제목이다. 자유기고가로 활동하는 ... 증거 가운
데
교과 과정에 적합하고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적절한 사례를 소개하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07
사람의 뇌는 무게가 1.3kg 정도다. 몸무게의 고작 2% 수준이지만 우리가 쉬고 있을 때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20%를 차지한다고 한다. 이처럼 유지하는
데
비용이 많이 ... 질환으로 규정될 것”이라며 “이런 연관성은 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 전략을 짜는
데
더 깊은 통찰을 줄 수 있다”고 ... ...
2012 바이오 희망나눔 프로그램 “난치병 정복하는 과학자 되세요”
과학동아
l
201207
경북 풍산고 3학년인 김정연 학생은 “작년에도 왔는
데
유명한 과학자를 직접 볼 수 있는
데
다 강연 내용도 너무 좋아서 올해 또 왔다”고 말했다.뇌를 주제로 강연한 신희섭 박사는 인기높은 과학자답게 재미있는 강연으로 학생들을 자주 웃기며 즐거움을 안겨줬다. 특히 쥐의 뇌를 이용한 실험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