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미라와 같은 구조의 무덤에서 형성된 또 다른 미라는 없는지 확인하고 싶었다.수소문
끝
에 덜컹거리는 완행버스를 타고 7시간을 달려간 곳은 후베이성(湖北省) 징저우(荊州) 시. 이곳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168호 미라’가 전시돼 있다. 더 오래됐다지만 실제로 사망한 시기는 마왕퇴 미라와 몇 ... ...
허블 3D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성공을 바라지 않았겠는가. 우주에서 수행된 11일의 서비스 미션4는 다행히도 성공적으로
끝
났다.밤하늘을 항해하던 허블우주망원경의 눈은 밝게 빛나는 시리우스 별 위에 펼쳐진 오리온자리로 향한다. 스크린에는 오리온자리가 점점 확대된다. 오리온자리가 가까워지자 오리온 대성운과 ... ...
PART 2 최다득표자라도 꼴찌가 될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A에게 줄 수 있게 하는 방식 말이다. 이 방식이라면 록 음악을 지지하는 소수의 바람이
끝
까지 지켜질 수도 있을 것이다. 누적투표제는 아카데미 영화제의 수상작을 결정할 때나 스위스와 독일의 의회 선거에서도 이미 사용하고 있다. 결과를 계산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은 제작진의 몫에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화끈한 성격 덕분에 저와 블루는 어느새 벼랑
끝
에 서 있었게 됐죠. 저야 오랜만에
끝
없이 펼쳐진 하늘을 만났으니 행복했지만, 블루는 파란 얼굴이 더 새파랗게 질렸더라고요. 그래서 라파엘이 생각해 낸 아이디어는 우선 비행을 체험하는 것! 우리는 바로 행글라이더에 몸을 맡겼어요.행글라이더는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둔탁한 물건이었는지 칼과 같은 예리한 물체인지도 판단할 수 있게 한다.잘린 모발의
끝
부분은 처음에는 매우 거친 형태를 보이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둥글게 변한다. 이 때문에 언제 머리카락을 잘랐는지도 알 수 있다. 머리카락 덕분에 사랑하는 사람과 부모님을 찾았어! 내 머리카락을 아름답게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초승달 지대(보라색 부분)’다. 이 지대는 동쪽으로 페르시아 만에 닿아 있고 서쪽
끝
은 나일 강 유역까지다.][➊ 야생동물은 가축이 되며 신체적 변화를 겪는다. 따라서 유골로 야생동물과 가축을 구분할 수 있다. ➋ 사람들은 동물의 뿔이나 뼈를 갈아 사냥 도구, 어로, 농기구 같은 여러가지 도구를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기지를 설치할 수 있는 기간은 4월에서 7월뿐. 이 넉달 동안 모든 운송과 설치를
끝
내야지 그렇지 않으면 미리 설치한 구조가 부실될 우려가 있다.과학기지가 들어설 암반의 강도는 콘크리트 강도 이상으로 강하다. 수심이 50m가 넘는 바다에서 암반을 평탄하게 깎아내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평탄한 ... ...
0을'러브'라 부르는 테니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수직 방향으로 공을 칠 때는 경기장 옆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네트 양
끝
이 가운데보다 더 높다는 사실을 고려해 공의 높이도 잘 조절해야 한다. 플레이 앤 스테이국제테니스연맹은 2007년 테니스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색다른 테니스‘플레이 앤 스테이’를 선보였다. 일반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약. 잠깐! 충수 속으로 꼭꼭 숨어라!많은 사람들이 맹장이라고 부르는 충수는 대장
끝
에 달린 조그만 꼬리 같은 기관이에요. 그동안 충수는 필요 없는 기관이라고 생각돼 왔어요.하지만 미국 듀크대학교 연구팀의 실험결과, 설사 같은 병이 나서 장 속의 박테리아가 모두 비워질 때, 착한 ... ...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언젠가 반드시 줄어드느냐 하는 것은 사실은 참이 아닙니다. M은 다음과 같이 처음부터
끝
까지 전혀 줄어들지 않는 경우가 (아주 많이) 존재합니다. M이 줄어들지 않을 수 있는 주요한 이유는 사탕의 개수가 홀수가 되었을 때 사탕 하나를 더 받는다는 조건 때문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m은 틀림없이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