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52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은 ‘거절당할 용기’가 있나요?
2017.05.21
흥미를 보이며 어떻게 할지 한참을 고민하다가 최선을 다해 색깔까지 정확한 올림픽링
모양
의 도넛을 만들어준 것이다. Jia는 진심으로 놀랐고 고마움을 표했다. 스탭은 자신도 즐거웠다며 이 도넛은 내가 쏘는거라고 하기까지 했다. 그는 이 경험이 자신의 인생을 바꿨다고 고백했다. 아마 안 될 ... ...
분리불안 앓는 ‘껌딱지 같은 남자’
팝뉴스
l
2017.05.19
것은 같고 때문에 안정감을 느끼게 된다. 그런데 극소수 남성도 분리불안을 보이는
모양
이다.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큰 웃음을 주는 이 남성은 고양이나 강아지처럼 여성에게 엉겨 붙어 있다.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는 남성의 집요함도 놀랍지만 여성의 다리 근력과 다리의 강도도 굉장한 ... ...
과학기자 4명이 인도로 떠난 까닭은?
2017.05.19
볼게! 셋, 둘, 하나 ‘슝~!’ 이제 선생님처럼 만들어 보자.” 자석의 척력으로 우주선
모양
의 종이를 들어 올리는 실험을 선보였다. 다리 밑 학교엔 5~14세 사이 다양한 연령대의 아이들이 다닌다. 과학 실험 도구를 나눠주자 ‘저 정도는 나도 안다’며 코웃음 치던 고학년 학생도, 신기함에 눈을 ... ...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
과학동아
l
2017.05.18
이동했다. 바이오센서의 감지속도는 기존보다 20배 더 빨라졌다. 김 교수는 “거미줄
모양
의 자기장 패턴이 고속도로 역할을 하는 셈”이라며 “질병의 초기 진단과 재발 진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엔피지 아시아 머티리얼스’ 온라인판 3월 31일자에 게재됐다 ... ...
목성과 함께한 선남선녀의 데이트, ‘청춘별파티’를 아시나요?
과학동아천문대
l
2017.05.17
공전하는 쌍성을 커플에 비유하며 별의 과학을 설명했다. 두 개 은하가 충돌하며 하트
모양
을 이룬 6300만 광년 거리의 안테나 은하에 대해서는 ‘강한 중력에 의해 스킨십을 만들었다‘하여 흥미롭게 풀어냈다. 과학동아천문대 제공 참가객들은 과학동아천문대가 제공한 맥주와 어묵을 먹으며 ... ...
태평양 플라스틱 쓰레기 청소 프로젝트
팝뉴스
l
2017.05.16
되었다. 이는 원래 계획보다 2년 빠른 것이다. 쓰레기 수거 장치에는 닻과 같은
모양
의 추가 달려 있다. 이 추가 무겁기 때문에 주변의 쓰레기보다 천천히 움직이게 된다. 보얀 슬랏에 따르면, “바다 위에서 장치는 플라스틱보다 천천히 움직이면서 플라스틱을 수거하는데, 마치 ‘플라스틱 ... ...
거대은하단서 ‘해파리 타원은하’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5.16
‘MUSE’를 사용했다. 해파리 은하라는 이름은 은하에서 방출되는 뜨거운 가스가 꼬리
모양
을 이룬 것이 해파리를 닮았다는 데서 연유했다. 거대은하단은 수천 개의 은하들이 서로 중력에 의해 결합돼, 강력한 중력으로 근처에 맴도는 은하들을 중심으로 빨아들인다. 이때 거대은하단을 채우고 ... ...
[써보니] 아이패드를 바라보는 애플의 새 전략 '가격'
2017.05.16
만든 음악은 구분하기 어렵다. 우리가 필요한 건 ‘컴퓨팅’이다. ‘컴퓨터’의
모양
으로 생산성이 가두어질 필요는 없다. 지금 이 글도 비좁은 비행기에서 아이패드에 쏟아냈다. ※ 필자소개 최호섭. PC사랑을 시작으로 최근 블로터까지 IT 분야만 팠다. 차에서 보내는 시간이 아까워서 ... ...
[과학] 희귀한 ‘남극의 용 비늘 얼음’
팝뉴스
l
2017.05.15
ice)’이라 불린다. 남극 서부에서 촬영되었는데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이런 기이한
모양
의 얼음이 생성된다. 허리케인에 버금가는 강력한 바람이 불어 해수면의 얼음을 들어 올리고 들뜨게 만들어야 한다. 또 기온이 아주 낮아 해수면을 다시 얼려야 한다. 그러면 마치 생선 비늘처럼 층을 ... ...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
과학동아
l
2017.05.12
경우 친구 관계를 통해 여러 단계로 폭넓게 확산된 반면 루머는 전파 경로가 툭툭 끊기는
모양
새가 나타났죠. 트위터 친구들이 루머 전파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연구팀은 이렇게 알게 된 특성을 활용해서 루머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습니다. 실험 결과, 루머가 확산되기 시작한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