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핵을 만든다. 그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고 그 에너지를 인류가 이용한다.
결국
핵분열과 핵융합 둘다 핵결합에너지가 큰, 조금 더 안정한 핵을 만들고 반응 전과 후의 핵들의 결합에너지 차이만큼을 에너지로 방출하면 그 에너지를 이용한다. ... ...
내 안에 또 다른 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그려내다 ‘만델브로 집합’을 찾아 냈네. 프랙탈 구조는 두 집합에서 모두 볼 수 있지.
결국
나는 스승 쥘리아의 문제를 해결하며 프랙탈을 더 자세히 알게 된셈이지. 난 이것들을 기초로 다양한 분야에서 프랙탈의 원리를 찾아내 마침내 1982년 ‘자연의 프랙탈 기하학’이라는 책을 출간하게 됐네.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연구를 지속할수록 많은 수학자는 칸토어의 이론이 완벽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집합론을 발표한 지 얼마 되지 않은 1897년, 이탈리아 수학자 부르알리-포르티는 최초로 집합론 역설을 발표했습니다.칸토어는 그의 집합론에서 주어진 임의의 가장 큰 수(초한수) 가 있다고 가정할 때, 항상 그 ... ...
흔들흔들, 쾅쾅~ 위험한 세상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아저씨는 어린이보호구역에서도, 급커브에서도 정말 난폭하게 운전을 했어. 그러다
결국
은 사고가 났단다.사실은 버스의 앞유리에 가상의 화면이 나오는 체험이었지만, 의자가 버스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여서 실제로 난폭하게 운전을 하는 버스에 탄 기분이었어. 버스가 급하게 출발하거나 정지할 ... ...
이런 수학문제 봤나요?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검증하고 도둑을 잡거나 다음 가정이 세워진다. 이 규칙대로 가정을 만들어 나가면
결국
가정 중 하나는 참이므로 경찰관은 유한한 시간 내에서 도둑을 잡을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 이야기 대학 입학 수학 시험, 그림으로 풀다 고집 센 외톨이 수학자 내 안에 ... ...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위다. 하지만 새에게는 비행기가 따라잡을 수 없는 자유로움이 있다. 인공지능이
결국
인간보다 우수해질 날이 오겠지만 인간과 완전히 똑같은 능력을 갖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컴퓨터의 연산속도가 계속 빨라지면 지금은 불가능해 보이는 인공지능이 등장할 것이다. 양 교수는 그 시점을 2020년 ... ...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기원’에서 “새로운 종류는 끊임없이 생겨나지만 종의 수는 무한히 증가할 수 없다.
결국
대부분은 멸종하게 되어 있다(제4장)”고 밝혔다. 생물통계학자들이 화석을 통해 추정한 계산 결과도 일치한다. 생물이 처음 탄생했던 37억 년 전 이후, 지구 상에 등장한 생물 종의 99.9%가 멸종했다.그러나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반입해온다. 필자가 갔을 때는 날씨가 나빠 보급선이 예정보다 보름 이상 늦어졌다.
결국
매일 김칫국과 어묵무침 등 얼마 안 되는 반찬으로 배고픔을 달래며 대원들의 고충을 함께 느낄 수 있었다. 물품이 도착해도 풍족한 것은 아니다. 운송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유통기한이 6개월밖에 안 되는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그래서 영암 대회는 1위조차도 안심할 수 없는 흥미진진한 대회를 이어나가게 됐다.
결국
11월 16일 아부다비에서 치러진 F1 그랑프리에서 베텔이 우승하면서 월드 챔피언이 됐다.천문학적인 돈을 풍동 실험에 쏟아 붓는 이유F1 머신 경기를 ‘포뮬러 원(Formula 1)’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엄격한 규정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끄는 변화의 선두에 서서 모두가 안 된다고 한 일을 추진했다. 고집을 굽히지 않고
결국
자신의 주장이 옮음을 증명함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었다. 초창기 한국 여성과학계는 변변한 연구시설도 갖추지 못한 불모지였다. 그러한 환경에서 모혜정 이화여대 명예교수는 한국 여성 1호 물리학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