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위
활동
행실
실행
동작
소행
태도
뉴스
"
행동
"(으)로 총 3,971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에서 발견한 인간 진화 흔적 '장미열매 신경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다른 동물과 달리 고차원적인 사고와
행동
을 한다. 과학자들은 진화 과정에서 뇌의 용량이 커진 결과라고 설명하지만 명확한 이유는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그런데 최근 사람에만 있는 신종 거대 신경세포가 발견됐다. 쥐와 같은 설치류의 뇌에서는 발견되지 안는 신경세포로, 포유류의 뇌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내 고민을 대신 해결해줘…의존성의 진화
2018.08.26
상당부분 그런 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물론 정보를 얻는
행동
과 의존할 대상을 찾는
행동
은 다릅니다. 원시 시대에는 아마 강력한 권위자를 찾아 그에게 모든 결정을 위임하고 보살핌을 청하는 것이 상당히 유익한 전략이었을 것입니다. 지식은 오로지 경험을 통해 얻던 시대였죠. 시행착오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트리거 워닝…경고 메세지가 오히려 트라우마를 촉발한다
2018.08.25
결과 정말 소심한 사람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 이렇게 믿는대로 생각하고
행동
하고, 따라서 결과적으로 정말 믿는대로의 사람이 되는 현상을 자기예언적 효과라고 부르기도 한다. 최근 하버드대 연구진은 트라우마 역시 믿는대로 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고양이는 야생동물일까 반려동물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이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후천적으로 학습한
행동
이라는 얘기다. 고양이 길들이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중성화’ 때문이다. 인간이 원치 않는 임신이나 질병을 막기 위해 사람들은 자신의 고양이를 중성화시킨다. 이는 장기적으로 인간과 조화를 잘 이룰 수 ... ...
[이강운의 곤충記] 반짝임 뒤에 숨겨진 반딧불이의 힘
2018.08.22
두드러져 정확히 짝을 찾을 수 있지만 노출이 심해 더 위험해 보인다. 보다 더 위험한
행동
은 날아다니는 반딧불이를 손으로 잡을 수 있을 만큼 매우 느리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루시부파긴(Lucibufagin)을 장착한 반딧불이를 공격할 천적은 없다. (왼쪽) 늦반딧불이 수컷 발광기(빨래판 같은 넓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핫 하우스' 지구, 더 이상 픽션이 아니다
2018.08.21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파리기후협약을 준수하는 건 기본이고 여기에 더해 적극적인
행동
을 할 때라고 덧붙였다. 즉 온실가스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하고 신재생에너지에 좀 더 힘을 쏟아야 한다는 것이다. 파리기후협약 당사국총회(COP21)가 열린 지 3년이 다 되어가는 이 시점에서 ... ...
목숨을 건 연구 체험기! 아마존에서 살아남기
2018.08.20
5일 발행) '특별기고-아마존에서 살아남기' ※필자소개 전종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행동
및 집단 생태학 실험실에서 양서파충류를 연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2월 초까지 6주간 아마존 열대우림의 생태보전을 위한 비영리 연구기관 ‘Fauna Forever’에 머물며 양서파충류 조사를 했다. ... ...
[내 마음 왜 이럴까?] 규율과 복종으로 스스로 옥죄는 삶...강박성의 진화
2018.08.19
찾아볼 수 없는 게슈타포가 마음 속에 있는 것이죠. 삶의 자유는 말살되고, 자율적인
행동
은 금지됩니다. 자신이 만든 법과 규정에 얽매여서 단 한번의 인생을 스스로 옥죄며 살아갑니다. GIB 제공 강박성의 진화 기본적으로 강박성은 소극적 생존 전략입니다. 이들은 쾌락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여성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
2018.08.18
GIB 그래도 정의 집행과 관련된 판단에서는 좀 달랐으면 좋겠는데, 안타깝게도 법과 인간
행동
(Law and Human Behavior) 저널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여기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Salerno & Peter-Hagene, 2015). 연구자들은 모의 법정에서 사람들에게 실제 사건과 관련된 구체적인 ... ...
막힌 도로, 붐비는 비상구...“개미의 물리학”으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8.08.17
수 있는 묘안이 있을까. 17일 학술지 사이언스에 따르면 미국과 독일 연구팀이 개미의
행동
을 물리학적으로 연구해 해법을 찾았다. 비밀은 뜻밖에 ‘게으름’과 ‘불평등한 일 배분’에 있다. 1. 조직원의 70%는 게으름을 피우는 게 좋다 대니얼 골드먼 미국 조지아공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불개미 3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