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명의 과학자와 결혼한 여성 - 마담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물론 이 경우는 한사람이 이미 세상을 떠나고 난 경우라 엄밀히 말해 삼각관계라
보기
는 힘들다.라부아지에(Antone Laurent Lavoisier, 1743-1794)는 ‘근대화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파리에서 법률가의 아들로 태어났고, 아버지의 뜻에 따라 얌전히 법학을 공부했지만, 수학과 천문학에 눈을 돌렸고 ... ...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화학교사가 있다면, 1백40년의 역사를 가진 패러데이의 양초 실험 하나하나를 직접 재현해
보기
를 권하고 싶다. 과학자와, 역사학자, 그리고 교육자로서의 경험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물리와 화학을 넘나든 발견과 과학의 대중화마이클 패러데이(Michael Faraday; 17911867)는 1791년 런던 부근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1백℃의 저온에서도 공기는 액체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습하다는 성질을 가졌다고
보기
어렵다.한편 공기가 뜨거운 성질을 가졌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가설은 자신의 개인적 경험을 항상 성립하는 진리처럼 주장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공기 역시 포함된 수증기 함량에 따라 습하거나 건조할 수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빈 공간을 흙벽으로 마감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이 그림에서와 같이 밋밋한 담집은
보기
힘들다. 이런저런 이유로 세한도의 집은 아무래도 우리나라 집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그렇다면 이 그림은 당시 우리나라 문화전반에 많은 영향을 줬던 중국의 일반적인 집을 그린 것은 아닐까. 실제로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단백질 연구의 또다른 어려움이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단백질이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기
도 힘들다. 때문에 생명활동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단백질 전체를 바라봐야 한다.그러나 얼마 전까지 단백질 연구는 개별적으로 수행돼 왔다. 그래서 각 연구자는 특정 단백질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할 수밖에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우주공간에서 그 위치를 그리 바꾸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목성을 잘
보기
위해 1년 정도 기다려야 한다.서쪽으로 가다가 동쪽으로?요즈음 목성은 쌍둥이자리에서 보인다. 쌍둥이자리는 어디에 있을까? 겨울밤이 깊어갈 때 하늘 높이 떠오르는 별자리인 쌍둥이자리는 낯익은 ... ...
두나무 가지 이어져 한 몸 된 연리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어진 것이 아니라, 같은 나무의 가지가 서로 연결된 것이므로 전형적인 연리지라고
보기
는 어렵다. 또 전북 고창군 해리면 동호해수욕장에 자라는 아름드리 곰솔은 뿌리목 부분이 서로 연결돼 있다. 아마 옛날에는 뿌리가 서로 이어져 있었으나 세월이 지나면서 노출돼 가지처럼 된 것으로 ... ...
파브르의 곤충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파헤쳐지는 지하실이 어떻게 배열돼 있고 칸막이 등이 어떻게 돼 있는가를 자세히
보기
위해 땅 위에 배를 깔고 엎드려서 온 신경을 눈에 집중시켰다. … 쇠똥구리가 만든 이 이상한 공을 처음 봤을 때의 감격을 나는 잊을 수 없다. … 파라오의 어느 무덤 속에서 죽은 왕에게 바친 에메랄드로 조각한 ...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소행성 베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있다. 베스타는 이 알데바란의 약간 서남쪽에 있다. 소행성은 쌍안경이든 망원경이든 겉
보기
모습은 다른 별과 비슷하게 보인다. 그러므로 소행성 베스타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황소자리 부근의 성도나 사진에서 다른 별과 비교해야 한다. 소행성은 위치가 바뀌므로 당연히 성도에는 표시되지 ... ...
기상천외한 동물의 의사소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사실을 알 수 있다.두가지 경우 개가 굉장히 다른 행동 표현을 하고 있다. 시각적으로
보기
만 해도 무슨 뜻이라는 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자기들끼리의 표현 방식이지만 개가 아닌 사람이 봐도 어느 정도 의미는 찾아낼 수 있다는 말이다. 바로 이런 방법을 통해서 동물의 의사소통에 서서히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