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녕
평온
안정
보장
무사
안보
안심
d라이브러리
"
안전
"(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산호에게 제공한다. 한편 충조류는 성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와 영양염류, 그리고
안전
한 서식처를 산호로부터 얻을 수 있다.이런 공생관계를 통해, 햇빛이 잘 드는 곳에 사는 산호는 수심 깊은 곳에 사는 산호보다 세배나 빨리 자랄 수 있다. 충조류는 크기가 고작 0.01mm 정도밖에 안되지만 산호의 ... ...
철학 잘 해야 행복한 과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실제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식으로 접근을 해야 했단다. 그러나 과학자들이 무조건
안전
하다고만 했으니 오히려 시민들의 반발을 샀다는 것이다.“과학자들은 비전문가가 자신의 일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말하는 것을 싫어합니다.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말을 간섭으로 여기죠. 그러나 ... ...
플라스틱자전거 vs 강관자전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지나치게 생산 비용만을 절감하려 한 탓에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미적 선호도나
안전
성 등을 고려하지 못했다. 시장의 변화에 따라 자전거 디자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소비자의 심리를 따라가지 못했던 것이다. 공학자에게는 소재의 한계 때문에 디자인이 왜곡되는 것이 당연해보일 수도 있지만 ... ...
해양연, 해저 탐사 무인 잠수정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앞으로 심해의 신비를 우리 기술로 파헤칠 수 있게 됐다.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
안전
연구소는 바다 밑 6000m까지 내려갈 수 있는 무인잠수정(ROV)을 최근 개발해 11월경 동해에서 시운전에 들어간다.이 무인잠수정은 로봇 팔과 다양한 센서가 달려 있어 깊은 바다 속에서 해양 생물을 수집하거나 ... ...
4. 디자인은 배려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해서 소비자의 시선을 빼앗는 것이었다. 반면 환경 규제 시대의 디자인은 제품의
안전
성과 기능성에 역점을 둬 재활용 가능하며 소비자를 만족시켜 오랫동안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기업과 소비자가 제품을 팔고 선택하는 관계를 넘어 폐기단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관계를 ... ...
물 위 나는 대형 위그선 2009년 개발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모두 12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기로 했다. 위그선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
안전
연구소가 10여년 간 연구해온 미래형 선박으로 국내는 물론 미국 싱가포르 유럽 등에서 제조기술 특허까지 받았다.해양부는 위그선이 상용화되면 항공요금의 절반 수준으로 국내 연안과 중국 동부 연안, 일본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뉴욕을 향해 인천공항을 이륙한지 3시간째. 갑자기 기체가 흔들리며
안전
벨트 착용을 알리는 기내 방송이 들린다. 급작스런 난류를 만난 것뿐이니 걱정말라는 기장의 음성이었다. 하지만 평온하던 기내는 이내 불안으로 술렁인다.이런 상황은 장시간 비행기 여행에서는 흔히 겪는 경험이다.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비둘기의 지자기 감지 성공률이 절반이 넘는다는 결과가 발표됐다.지구 자체도
안전
할 수 없다. 지자기는 지구 바깥에 자기권을 형성해 태양풍과 우주방사선을 막아준다. 오로라가 그 증거다. 지구 표면으로 들어오지 못한 고에너지 입자들이 지구자기장을 따라 극지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층대기와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않고, 수분 함유량도 60% 정도로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죠.”에버랜드 리조트사업부 환경
안전
팀 최채식씨의 설명이다. 배합쓰레기를 약 1L 부피의 플라스틱 용기에 나눠 담고 98℃의 고온 증기로 8시간 동안 살균한 다음 영하 20℃ 이하로 급속 냉각시켜둔다. 다음 단계는 버섯 접종. 기계가 자동으로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부작용이 반드시 존재하는 기존 약물요법에 비해 훨씬
안전
하고 획기적인 치료법이 될 것이다. 난치병 환자들을 생각하면 이 같은 연구들이 하루라도 빨리 이뤄져야 하겠지만, 환자를 치료한다는 명목하에 무분별한 줄기세포 사용은 지양돼야 한다.발생기원 | 다세포동물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