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4 조명-심리를 좌우하는 테크놀러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효과에 국한돼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공간의 쾌적성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
되면서 조명의 선택과 배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백화점 매장 진열대의 화사한 조명이나 레스토랑의 은은한 불빛은 정교한 조명 설계의 결과다.최근에 문을 연 오사카의 간사이 ... ...
Ⅲ 한국형 감성공학, 세계로 나간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목표는 기계 중심적 접근이 풍미했던 초기에, 감성공학을 '센서기술'의 또다른 이름으로
인식
하기도 했던 것에 비하면 개념상 발전을 이룬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지난 10월 14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감성 공학을 제2차 G7 프로젝트 연구 후보 과제로 다시 신청했다 ... ...
경락의 실체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몸이 아프면 한의원에 가는 일이 드물지 않다. 그러나 한의학을 '과학'으로 자신있게
인식
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는 한의학이 과연 과학적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기의 흐름, 즉 '경략'의 존재를 탐색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경락은 한의학 치료의 전제였지 새삼스레 밝혀야 할 ... ...
2 단편적일뿐 체계적이지 못하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상위 중추로 보내지며, 이곳에서 피부로 통각을 투사하면 사람은 피부가 아프다고
인식
하게 된다.물론 척수의 뉴런은 피부 자체의 통각도 입력한다. 또한 평소에는 내장에서 강한 자극이 입력되는 일이 별로 없다. 따라서 상위 중추는 보통 피부쪽으로만 주의가 기울어진다. '내장에 병이 있어' ... ...
95 노벨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발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 연구는 선천성 기형의 형성과 그 예방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과학적 탐구는 바로 현실을 떠나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일련의 과정일지 모른다 ... ...
조용하게 때론 거칠게 바다를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생활하수종말처리장을 더 많이 건설해야 할 것이다. 시민들도 환경문제에 관한
인식
을 새롭게 하여 오염물질을 되도록 적게 버리고, 어민들은 양식장에서 나오는 각종 사료 찌꺼기 및 배설물에 의한 부영양화를 막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그러나 일단 적조가 발생하면 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 ...
비만 8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저혈압 등이 나타난다. 그러나 심한 체중감소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스스로를 비만하다고
인식
해 전혀 먹으려 하지 않는다. 결국 이중 약 10%가 목숨을 잃는다.이와는 반대로 짧은 시간 동안 쉬지 않고 정신없이 먹어대는 '대식증'도 있다. 배가 너무 불러서 아프거나 누군가가 말려야 겨우 식사가 ... ...
2 다른 배우자와의 인공 수정, 그리고 그 파장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인공수정 탓으로만 돌릴 수 없다. 그것은 오히려 가족관계에 대한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인식
과 현대적인 가족의 재형성이 가능할 때 풀릴 문제일 것이다.정서반응보다 사회적으로 더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따로 있다. 우생학적으로보다 건강하고 지적 수준이 높은 후세를 얻고 불구·기형·무능의 ... ...
1 존재는 밝혀졌지만 형태는 불확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물 흐름 등에 유비시켜 몸의 기혈순환에 관한 사고를 전개시켰다. 이러한 기본적인
인식
방법에 대한 이해가 없는 한 서양의학의 구조·해부학적인 접근은 큰 실효를 거두기 힘들 것이다. 결국 경락현상에 대한 구조·해부학적인 탐구는 생명현상을 나타내는 인체의 복잡한 기능을 얼마나 생동감있게 ... ...
머리 좋아지는 냄새는 없을까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10만배로 증폭, 뇌로 전달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냄새를 아주 조금만 맡아도 생물이
인식
할 수 있는 이유가 설명된다.G단백질은 작년 노벨 의학·생리학상을 받은 길먼과 로드벨 박사가 발견한 물질이다. 체내 신경전달물질이나 호르몬, 성장인자 등이 세포막의 수용체와 결합하면 수용체 옆에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