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5,310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폰으로 TV 보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04
3mm로, 부피로 환산하면 1.8cc 크기에 불과하다. 커다란 지우개만 하던 것이 아주 얇은 칩
형태
로 부피가 획기적으로 줄어든 것이다. 더욱이 1/20 정도밖에 되지 않는 크기면서도 공중파 TV방송은 물론 1백81개 케이블 채널까지 수신할 수 있다.물론 케이블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는 말이 당장 케이블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
과학동아
l
200304
수행하는 놀이를 통해 캐릭터(등장인물)의 성격을 형성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형태
의 게임 컴퓨터 RPG로는 울티마, 디아블로 등이 유명하며 한국의 대표적 온라인게임 '리니지'도 여기에 속한다약물을 지지체에 직접 담아 피부를 통해 직접 투여하도록 만든 치료제아픈 부위를 자극하고 ... ...
1 종말 위기 닥친 인류 문명의 요람
과학동아
l
200304
도시의 중심에는 최고신이자 도시의 수호신을 모신 지구라트(ziggurat)라는 피라미드
형태
의 신전 건축물이 세워졌다. 번쩍거리는 황금장신구를 주렁주렁 단 루갈은 모든 시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지구라트에서 제사를 올렸다. 이때에는 하프와 같은 악기도 동원해 음악을 들려줬다.수메르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04
팀워크의 중요성을 극명하게 보여준 최초의 사례다. 현대의 과학연구는 대부분 공동연구
형태
로 이뤄진다. 전공분야가 다른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하나의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것도 이젠 흔한 일이다. DNA 구조 발견도 동물학자, 물리학자, 화학자, 수학자 등 다양한 학문 분야 전문가들의 상호작용을 ... ...
펭귄 수컷의 뱃속은 아기 음식창고
과학동아
l
200304
저장해둔 음식물 샘플을 조사한 결과, 많은 수의 박테리아가 죽거나 기능을 상실한
형태
로 변형돼 있었다고 과학전문지 ‘극지생물학’ 2002년 11월호에서 밝혔다. 플랑크톤을 먹은 물고기를 다시 펭귄이 먹으면 플랑크톤에서 항박테리아 물질인 아크릴산이 분비돼 박테리아가 살아갈 수 없는 환경을 ... ...
머리가 편안해야 장수한다 베개의 과학
과학동아
l
200304
보여주고 있다.라텍스폼과 메모리폼으로 만들어진 베개는 경추를 받치는 바람직한
형태
로 돼 있다. 하지만 배하석 교수는 “너무 푹신한 종류는 경추를 제대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힘들고 머리 부분이 파묻혀 뒤척이는데도 방해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뒤척이는 것은 머리 한부분에 압력이 ... ...
0.3초만에 시선 사로잡기 간판의 과학
과학동아
l
200304
간판은 시각 요소뿐 아니라 들리는 소리로써 정보를 전달하는 ‘사인음’(signature sound)의
형태
로까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인음을 공공영역으로 확장시켜 ‘보는 간판’이 아닌 ‘듣는 간판’의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사인음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어떤 음색과 멜로디를 어떤 템포로 ... ...
집에서 만드는 우유팩 오븐
과학동아
l
200304
안에서 어떻게 빵이 구워질까?빵 반죽에는 소금과 베이킹파우더가 우유에 녹아 이온
형태
로 존재한다. 이 이온들이 빵 반죽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다.그러나 빵 반죽은 도체가 아니므로 전기저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전기저항에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고, 열이 빵 반죽을 익게 한다. ... ...
컬럼비아호 잔해 2만개 조각맞추기
과학동아
l
200304
전이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어떤 경우에도 고압상은 저압상에 비해 밀도가 높다 고밀도변
형태
를 이용하여 새 물질을 합성할 수 있다 하나의 결정편(結晶片)에 수백개 이상의 소자를 집적한 회로 어느 정도 전기전도성을 발현하는 고분자화합물의 총칭 고분자 재료에 구리 · 은 · 흑연 등의 도체를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04
형태
인 Pr(적색광 흡수형)이 된다. 즉 흡수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피토크롬은 Pr이나 Pfr
형태
로 바뀐다. 이러한 광전환성 때문에 광주기 인식에 피토크롬이 사용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구체적으로 단일식물의 경우를 살펴보자. 단일식물은 하루 중 밤의 길이가 일정 시간(임계 밤길이)보다 길어야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