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상
추억
추상
회포
회고
환기
이지
d라이브러리
"
기억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전달 매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결국 그 노력이 인정을 받게 된 것이다. 이들의 연구는 심리학의 영역으로 인식된 학습과
기억
현상이 자연과학적인 차원에서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복잡한 뇌의 기능을 간단한 신호전달과정을 통해 설명해준 것이다.또 이들의 연구는 신호전달 체계의 이상이 어떻게 신경·정신질환을 ... ...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보이스 레코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테이프를 앞뒤로 감아가며 들어봐야 한다. 물론 테이프 카운터를 이용해 녹음된 위치를
기억
해 놓는 방법을 쓸 수도 있지만, 그래도 원하는 부분을 녹음테이프에서 찾기란 여간 성가시고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하지만 IC 레코더에서는 메모 내용이 녹음 버튼을 누를 때마다 나눠서 저장되기 때문에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사진으로 1908년 물리학상을 수상한 가브리엘 리프만의 경우도 선정위원회의 오류로
기억
되고 있다. 리프만은 소르본느에서 수리물리학을 가르친 물리학자. 1891년 그는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해서 최초로 컬러사진을 만들었다. 그의 수상이 구설수에 오른 것은 그의 발명품이 실용화되지 않았다는 것.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있어요. 특히, 맨 마지막에 나타난 목격자는 자신이 어느 해에 그것을 봤는지조차 제대로
기억
하지 못하고 있었어요. 린다 코틸의 사건과 그의 UFO 목격을 연관시킨 것은 버드 홉킨스의 작품인 셈이죠.존 피랍 체험의 물질적 증거에 대한 신빙성은 문제가 있음을 시인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 ...
뱀·거미·탱크로 변신하는 전천후 로봇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변신 놀라운 사실은 사람이 조립해야 하는 레고와 달리, 폴리봇은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기억
하고 있다가 사람이 명령을 주면 모듈을 붙였다가 떼어냈다 하면서 스스로 변신한다는 점이다.각각의 모듈들은 모두 같은 프로그램을 갖고 있다. 하지만 모듈들은 이 프로그램 가운데 자신에게 필요한 ... ...
향기속에 살다간 후각의 천재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나를 보낸다.냄새에 대해 생각만 해도 내 코는 지나간 여름과 무르익는 들판의 달콤한
기억
을 일깨우는 향기로 가득 찬다."주위의 걱정스런 시선을 받으며 복숭아 나무 사이를 뛰어다니는 어린 헬렌의 모습이 손에 잡힐 듯하다 ... ...
CD는 가고 DVD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재생해도 떨어지지 않는 화질과 저가의 저장매체는 매력 그 자체였다”며 CD에 대한
기억
을 되살리며 말했다. 하지만 “영화를 시청하다 극적인 장면에서 다음면으로 뒤집어야 한다는 것은 마니아에게 영화의 긴장감을 떨어지게 하는 치명적인 단점이다. 그런데 DVD는 그럴 필요가 없는데다, DVD ... ...
카멜레온처럼 변화무쌍한 특수잉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판독이 가능한 특수잉크를 이용한 것이다.자성잉크 문자해독기는 자기 신호라고 하는
기억
수단을 사용해 기계로 기록하고 해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비밀을 보호하고 기록과 판독을 쉽게 해서 사용하기 편리하게 만든 것으로 자기를 이용해 정보를 훨씬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이런 ... ...
Ⅱ. 드라큘라는 왜 보름달에만 출현하나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우리나라 사람들은 보름달이 뜨면 마음이 넉넉해지고 모든 것을 풍요롭게만 느낀다.하지만 서양인들 ... 을 통해 널리 알려진다. 따라서 보름달의 영향은 과학과 비판에 무지한 사람들의 선택적
기억
과 매스컴이 공조해 확대재생산한 작품인 것이다 ... ...
호기심 천국'과 드라마 '카이스트'위기설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승부’에서 벌어진 로봇축구 아시아태평양대회 결승전 마지막 5초 장면은 지금도
기억
하는 사람들이 많다. 탁구대 절반 만한 경기장에서 로봇 3대가 골프공을 상대방 골문에 차넣기 위해 벌이는 숨막히는 경기. 공중 패스, 헤딩슛, 골인으로 이어지는 이 5초간의 경기를 연출하기 위해 제작진은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