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3. 한번에 OK, 일체형 자동차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부품을 좀더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한
편
최근 국내에서는 성형과 소결공정 중에 부품의 접합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는 일체화 성형기술을 통해 3차원의 복잡한 형상을 가진 자동차 변속기가 개발됐다. 자동차의 자동변속기 같이 차량 자동화에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이름을 되찾으려는 정부의 노력이 조금씩 열매를 거두는 예로 보여 기쁘다. 그러나 한
편
으로 과연 우리 동해를 알려고 하는 노력을 정부가 그동안 얼마나 도와줬는지를 생각해볼 때 아쉬운 마음이 든다.이제 동해에 관심을 가진 미국과 유럽 과학자들은 동해를 부를 때 반드시 동해(East Sea)라는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이주한 뒤 최근 약 3만년 전까지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 살았던 것으로 설명한다 한
편
약 6만~7만년 전 초기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아시아로 이동한 뒤 다시 여러 대륙으로 집단 팽창했다는 이론은 '아프리카 기원설2'다일련의 특이한 염기서열이나 여러 유전자들이 가깝게 연관돼 한 단위로 표시될 수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폭발한 핵폭탄은 혜성을 산산조각 낼 수 있는 수증기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한
편
아마겟돈의 소행성은 철과 니켈 등으로 이뤄진 소행성이다. 이런 소행성을 파괴하기 위해선 지질학적인 약점을 찾아내 구멍을 파야한다. 즉 우주비행사보다는 전문적인 굴착팀이 적합하다는 것은 딥 임팩트보다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IBM의 프로젝트 중 하나다. 그러나 아직 나노잉크 공정장비가 상업화되지는 않았다.한
편
나노머신을 만들기 위해서는 3차원 나노입체형상을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방법으로는 수nm의 깊이만을 파낼 수 있어서 2차원 평면에 가까운 단순한 모양밖에 만들 수 없다.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떼지어 살고 있는 가상의 수족관이다. 그러나 수족관 안의 평화는 오래가지 못한다. 맞은
편
에서 다가오는 다른 무리와 충돌이 발생하고 이로써 지금까지 일사분란하던 대열이 일시에 흐트러지기 때문이다. 대열의 앞부분에 있던 물고기는 정면충돌로 어쩔줄 몰라 허둥댄다. 대열의 후미에 있던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중앙제어장치보다는 각 개체마다 분산된 제어장치를 통해 시스템 전체를 통합하는
편
이 훨씬 유리하다.자율분산 로봇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통신부와 이동부, 그리고 중앙처리부다. 로봇은 중앙시스템으로부터 통제받는 것이 아니라 주변 상황과 가까이 있는 로봇의 정보만 인식해 ... ...
곤충세계의 해커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우선권을 갖게 된다. 시각과 후각 이용한 양동작전해커들은 이처럼 상대가 자신을 같은
편
으로 여기게 하는 전술을 주로 이용한다. 그러나 때로는 좀더 강력한 무기가 필요하다. 첩보영화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미인계’가 바로 그것이다. 곤충은 교미기에 짝을 찾는 성 페로몬을 분비하는데,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위해 나노잉크라는 벤처기업을 차렸다. 나노소자 도입으로 인공감각기관 현실화한
편
나노기술을 이용해 피부와 뼈는 물론 눈, 코, 혀, 귀와 같은 신체 감각 기관을 인공적으로 개발하려는 연구도 나노바이오의 한축을 형성하고 있다. 오늘날에는 2-3nm 두께의 DNA 이중나선 연구를 통해 생명현상을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거미의 유전자로 인해 파커의 손목에 거미줄 샘이 생겼다는 것까지 봐주자. 그러나 건너
편
의 빌딩까지 힘차게 거미줄을 분출할 수 있을까. 이 세상에 거미줄을 발사하는 거미는 없다. 거미줄은 거미줄샘에서 분비된 액체 상태의 단백질이 공기와의 만남으로 섬유가 되면서 바람에 날리는 것이다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