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6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성분 'PHMG-P', 천식 증상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5.17
중 호산구만 크게 증가하는 등의 양상을 보였으나 PHMG-P군은 lgE의 관여가 낮고 염증
세포
가 고르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규홍 단장은 “PHMG-P로 유발된 천식이 전형적인 알러지성 천식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며 “PHMG-P 성분이 함유된 가습기 살균제 제품 사용으로 인한 천식 발생의 근거 ... ...
백신 혈전증 인종별 왜 다른가 했더니…의학연구용
세포
주 95% 유럽계
동아사이언스
l
2021.05.17
수 많은 의학 연구에 사용되는 인간
세포
주의 95% 유럽계다. 호주 아동의학연구소 제공 지난 3월 기준 영국 보건당국에 따르면 영국 내 1700만명 이상의 신 ...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정밀의학’도 결국 유전자만이 아닌 그 기능이 발현된
세포
를 분석해야 성취 가능하다”고 밝혔다. ... ...
"의사 중 3% 의사과학자로 육성하면 바이오 분야 격변 일어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5.16
프로젝트를 이끈 프랜시스 콜린스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소장이나 유도만능줄기
세포
(iPS) 연구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야마나카 신야 교토대 교수가 대표적이다. 데이비드 후앙 하버드의대 교수는 광간섭단층촬영(OCT)을 망막 검사에 처음 적용해 생검에 의존하던 망막 검사 패러다임을 바꾼 ... ...
전세계 13대뿐인 ‘중입자 암 치료기’ 2년 뒤 국내 첫선
동아사이언스
l
2021.05.16
가속시킨 방사선을 이용한다. 중입자는 탄소 원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한 빔을 암
세포
에 조사한다. 탄소가 수소에 비해 무겁기 때문에 적은 방사선량으로도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기존 방사선 치료로 치료가 어려웠던 난치암 치료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전세계에서 운용중인 ... ...
급부상한 코로나 백신 지재권 면제...국내서 자체 생산하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1.05.14
보호하는 지질나노입자(LNP) 기술도 빼놓을 수 없다. mRNA는 분자가 불안정하고 크기가 커
세포
막을 통과하기 어려운데 이를 해결한 게 LNP 기술이다. LNP 제조 기술은 미국 아뷰투스와 영국 제네반트 등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화이자나 모더나도 아뷰투스의 LNP를 도입해 쓴다. 홍기종 대한백신학회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글로벌 100대 혁신 기업’ 트로피 수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13
약물을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나노반응기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나노반응기는
세포
나 생체에 나노입자를 넣고 생체 내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인공적인 화학반응을 유도하는 장치다. 연구팀은 개발한 나노반응기로 안압 및 뇌압 감소 약물인 D-만니톨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 ...
[의학게시판] 은영규 경희대병원 교수, 합병증 1% 아래 갑산성암 수술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13
재단은 201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야마나카 신야 교토대 교수가 설립했으며, iPS
세포
를 이용한 임상적용과 실용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재단이 해외 연구팀과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공동연구의 한국 측 책임자는 송지환 의생명과학과 교수가 맡았다 ... ...
"코로나19, 뇌 회색질 용적 감소시켜"
연합뉴스
l
2021.05.12
뇌의 회색질은 정보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회색질에 이상이 발생하면 신경
세포
의 기능과 신호전달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전문지 '스트레스의 신경생물학'(Neurobiology of Stress) 최신호에 발표됐다. ... ...
자폐와 뇌 발달장애 일으키는 새로운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단백질을 줄여 뇌 기능을 조절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의 실험 결과 인체
세포
에서도 TANC2가 줄어들면 mTOR 신호전달이 비정상적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 신경계에서도 TANC2가 쥐 모델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김 단장은 “이번 연구로 자폐 및 뇌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백신 개발 3대 키워드
2021.05.10
항원을 적게 넣되, 면역보조제와 함께 전달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더불어
세포
막을 쉽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거나, 나노입자를 활용하는 방식도 연구 중이다. 더불어 나노입자를 활용해 항원을 전달하는 연구도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Theobald, N. (2020). Emerging vaccine delivery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