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지적 수학 시점] 크레이지아케이드. 삼각 배치로 물풍선 연속 터뜨리기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이것을 ‘연사(연속 사격)’라고 합니다. 물줄기가 닿은 물풍선은 즉시 터지는 특징을
이용
해 물풍선 2개를 동시에 터뜨리고, 다음에 터질 풍선(대기 풍선)을 미리 놓아 터지는 간격을 줄이는 겁니다. 크레이지아케이드에는 연사 외에도 유용한 스킬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캐릭터를 정사각형 ... ...
[과학뉴스] 토성의 하루는 10시간 33분 38초!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NASA의 린다 스필커 박사는 이 연구에 대해 “고리의 파동을
이용
해 토성의 근본적인 특징을 알아냈다”며 “이건 확실한 결과”라고 말했답니다 ... ...
[과학뉴스]초대형블랙홀 무더기로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스페인 라팔마섬의 카나리아대형망원경, 칠레의 제미니사우스망원경 등을
이용
해 지난 5년간 300일 이상 퀘이사를 탐색했다. 그 결과, 빅뱅이후 약 8억 년 뒤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83개의 퀘이사가 발견됐다. 그중 66개는 그동안 예상하지 않았던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시키 ... ...
내 목소리도 프레디 머큐리처럼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내려 흉강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를 흉식 호흡이라고 부른다. 두 번째 방법은 배를
이용
하는 것이다. 근육으로 이뤄진 흉강과 복강을 구획하는 막인 횡격막을 위아래로 움직여 흉강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것이 바로 복식 호흡이다. 그렇다면 왜 노래를 할 때는 복식 호흡을 해야 할까. 이 교수는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이주해야 한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영화 ‘아바타’나 ‘패신저스’처럼 동면 기계를
이용
해 긴 잠을 자야 할까. 아니면 ‘인터스텔라’처럼 웜홀을 통과해야 할까. 하지만 이 방법들은 아직 기술적으로 요원하다. 현재 기술로는 일단 사람이 탈 수 있는 우주선부터 만들어야 한다. 그런데 얼마나 ...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감각을 통해 불편했던 기억에 사로잡히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의 경우 신경전극을
이용
해 해당 감각의 작용을 억제하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BMI 기술이 행동이나 기억에 관련된 신경장애 환자들을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수학동아와 함께해 더 특별한 파이데이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직접 만들어 누가 더 많이 외웠는지 가리기도 했습니다. 사칙연산 등 다양한 수학 기호를
이용
해 π에 가장 가까운 근삿값을 만들어내는 대회도 열었습니다. 그리고 많은 학교에서 모든 게임을 한 친구 중에 추첨을 통해 선물을 주면서 자연스럽게 π-데이 활동에 참여를 유도했습니다 ... ...
정재승|재밌는 과학, 따뜻한 과학으로 대중의 마음을 열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질문을 받고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아보가드로의 법칙’을
이용
해 이순신 장군의 숨결을 계산했다. 이 일화는 방송의 ‘킬링파트’로 두고두고 회자됐다. ‘과학인데 재미있다(?)’는 반응이 쏟아졌다. 대중에게 열린 과학으로 다가가는 그의 놀라운 소통 능력이 또 한 번 빛을 ... ...
[수학미술관] 시선을 모으는 원근법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영상을 만들어낸 거장으로 뽑히는 영화감독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는 1점 투시법을
이용
해 촬영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직사각형의 영화 화면에 대각선 두 개를 그어 보세요. 그럼 영화가 소실점을 중심으로 촬영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은 수많은 영화 제작에 영향을 줬습니다.이제 ... ...
Part 5. 동물이 없는 동물 축제는 어떨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기획한 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사무국장은 “동축반축을 통해 관람객들이 동물을 직접
이용
하지 않아도 동물에 대해 배우고 즐길 수 있단 사실을 깨닫길 바란다”고 말했답니다. ● 인터뷰 - “동물도 행복한 축제, 가능해요!” 김산하(생명다양성재단 사무국장) Q 왜 동축반축을 만드셨나요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