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미국 비겔로 해양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인 윤환수 박사는 미국 아이오와대 생물과
학과
에서 연구하던 2006년 시아넬의 게놈 일부를 분석해 놀라운 결과를 얻어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윤 박사는 시아넬 게놈의 유전자 배열이 엽록체 게놈 보다는 시네코코쿠스(Synechococcus)라는 ...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당당히 일하는 원동력이라고 강조한다. “토목공
학과
처럼 남성적인 분위기가 강한
학과
에 진학하면서도 거리낌이 없었어요. ‘왜 여성 진출이 적은 거야? 남성이 막는 거야? 난 그런 거 다 물리칠 거야!’라는 생각까지 했죠.”지금은 나름대로 유연한 대처법도 만들었지만 처음엔 현장에서 ... ...
한반도 가뭄의 숨겨진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한반도에 대해서 같은 결과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는 반응을 보인다.공주대 대기과
학과
김맹기 교수는 “동아시아지역에서 에어로졸 농도와 강수와의 관계를 입증할 뚜렷한 결과는 아직 없다”며 “에어로졸이 가뭄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기에는 아직까지는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서울대 ... ...
사촌이 땅 사면 정말 배 아픈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줄 수 있을까. 2006년 9월 8일자 ‘사이언스’에 실린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보자.한 심리
학과
의 연구실에서 사람들이 설문지를 작 성하고 있다. 설문지를 제출하면 감사의 선물로 비누 와 초콜릿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가져간다. 설문지는 두 종류로 하나는 비도덕적인 일을 한 경험을 회상케 하는 ... ...
인류와 문화 속에 깃든 수학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생각했다. 그리고 하늘의 막강한 위력 앞에서 두려워했다. 저자는 고대 문명을 비롯해 철
학과
종교, 신화, 예술 등에 등장하는 하늘의 푸른색에 대해 흥미로운 사실을 전한다 ... ...
경영학에 흥미가 있는 이과계열 학생이라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많이 진출하고 있습니다. 물론 컨설팅을 하려면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특정
학과
를 전공했다고 유리한 것은 아닙니다. 회사가 원하는 능력과 소양을 지니기 위해 입사 후 MBA(경영학 석사) 과정을 이수하기도 합니다.경영 컨설턴트는 크게 ‘전략’(Strategy), ‘운영’(Operation), ‘정보기술’ ... ...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 활동 역시 강원대 WIE 사업단에서 지원하는 대학자율 동아리 프로그램의 하나다.환경공
학과
석사과정 이지현 씨도 전공 관련 학술활동 지원 사업의 혜택을 톡톡히 받았다. 지난해 11월 19일~21일 일본 교토에서 열린 일본 폐기물학회에 참가해 논문을 포스터로 발표하며 많은 학자들을 만났을 뿐 ... ...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건넨 이 말은 사실 그의 이력에도 들어맞는다. 그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수
학과
물리학 분야의 석사 학위를 각각 받았으며 1970년 같은 대학에서 입자물리 분야의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바로 우주론 분야에 뛰어들었다. 이때부터 우주배경복사(CMBR)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우주배경복사는 ... ...
[생물]유전법칙의 기본, 멘델부터 모건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아우구스티누스파 수도원에 들어갔다. 그는 수도원장의 추천으로 빈 대학에서 물리
학과
수학을 배웠다. 다른 생물학자들과 달리 멘델은 유전에 관한 문제를 정량적으로 접근했다. 예를 들어 붉은 꽃과 흰 꽃을 교배시켰더니 붉은 꽃도 나오고 흰 꽃도 나왔다면 그 사실만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몇 ... ...
눈 깜짝할 사이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MTEL)이 우리 기술로 개발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주인공은 이화여자대학교 물리
학과
박흥식 교수팀으로, 현존하는 망원경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관측할 수 있는 차세대 우주망원경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망원경에는 빠른 속도로 계속해서 방향을 바꾸는 마이크로 거울이 달려있어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