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8,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고뭉치가 달라졌어요! 스쿨 필하모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5
저도 할아버지가 하시는 오케스트라에 참여할 수 있을까요? 사실 저도 달라지고 싶은
데
….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답답했거든요~.물론 할 수 있지! 하지만 지구 반대편에 있는 베네수엘라까지 올 필요는 없단다 .바로 새 학기부터 한국의 학교에서도 오케스트라와 밴드 활동이 시작되거든!우리 ... ...
수학으로 우사인 볼트를 더 빨리 뛰게 만들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205
도움이 된다. 멕시코올림픽 당시, 멕시코시티가 2240m의 고지대란 점도 기록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됐다. 고도가 높으면 공기 밀도가 적어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육상경기의 세계신기록은 고도 1000m까지만 허용된다. 배로우 교수는 고도가 1000m일 때 볼트가 0.03초 정도 기록을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05
따르기 때문이다. 수학문제를 풀려면 ‘문제인식→계획→실행→반성’의 단계를 거치는
데
, 발명도 불편함을 해결하려는 문제 인식에서 시작한다. 또 그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실행한 다음, 확인하는 단계를 거친다. 따라서 발명을 잘 하기 위해서는 수학적인 문제해결 ... ...
제14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통계로 보는 세상, 어떤 모습일까?
수학동아
l
201205
4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를 통계포스터대회 방식으로 개최한다.“통계도 어려운
데
통계포스터라니!”지레 겁먹은 독자들을 위해 통계포스터의 모든 것을 전격 분석한다!통계활용대회란?우리는 평소 통계와 관련된 수많은 뉴스를 접한다. “2011년 혼인은 32만 9100건으로 전년에 비해 0.9% 증가했다.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05
인도네시아 근처 해양에서 발생한 후 인도양을 건너 인도 남쪽의 주변 국가들을 덮치는
데
3시간도 넘지 않았다.인간이 바다를 정복하는 것은 오랫동안 불가능할 듯 하다. 인간은 현재 기술에서 10억 분의 1~100억 분의 1의 확률을 가지는 극한 상황에서도 견딜 수 있는 선박과 해양플랫폼을 만들지만 ... ...
해외탐사Big3 - '과학특별시민'을 모집합니다!
과학동아
l
201205
남태평양에 남북으로 길게 늘어서 있다. 본섬인 그랑드 테르와, 소나무섬으로 유명한 일
데
팽, 그리고 작은 섬들이 모여 있는 로열티 아일랜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곳은 아름다운 자연의 가치를 인정받아 섬의 60% 이상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다. 아름다운 푸른 바다에는 거대한 산호초와 ... ...
곤충의 몸도 뚫는 거미의 송곳니
과학동아
l
201205
❶ 늑대거미의 일종인 쿠피니어스 살레이(Cupiennius salei). ❷ 거미의 송곳니. ❸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거미 송곳니의 구조.거미는 하얀 송곳니로 곤충의 목을 물 ... 것보다 복잡하고 정교했다”며 “연구결과가 자연의 일부를 모방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
과학동아
l
201205
한다”고 하였다 한다. 이후 이기억은 1944년 3월 중순 경에 슬그머니 교토대에서 사라졌는
데
2년 후에 서울대 문리대 교정에서 만나게 되었다고 한다.올해 창립 60주년이 된 한국물리학회는 6·25전쟁 중에 설립된다. 최규남 당시 서울대 총장은 부산 피난 시절에 “전쟁으로 황폐해진 우리나라에서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05
수도꼭지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물이 나오게 하려면 수도꼭지를 돌려야 하는
데
처음에 물이 나오게 돌리는 힘이 임계전압이다. 인텔 연구진의 실험 결과 3D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은 평면형 트랜지스터에 비해 약 30% 이상 줄어들었다.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부 교수는 “3D 반도체는 ... ...
나는 과학고로 대학간다!
과학동아
l
201205
없이 중학교 성적이 좋다고 무조건 과학영재교나 과학고에 진학했다가는 수업을 듣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는 대학입시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