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인
d라이브러리
"
일부인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2030년 한국의 우주 기술력은 어느 정도일까. 아마도 한반도 상공을 지나는 수많은 위성을 추적하고 때에 따라 물리치려면 지금부터 부지런히 기술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될지 모른다. 미국 과학컨설팅 회사 푸트론은 2009년 한국의 우주경쟁력을 인도에 이어 세계 8위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 ... ...
문어도 도구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문어가 코코넛 껍데기를 들고 다니며 도구로 쓰는 모습이 처음으로 포착됐다. 무척추동물인 문어가 도구를 사용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호주 빅토리아박물관 줄리안 핀 박사 연구팀은 최근 인도네시아 발리 섬과 술라웨시 섬의 북쪽 바다 속에 사는 핏줄문어(Amphioctopus marginatus)가 코코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슈우욱~.”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이하 휴보센터) 연구원이 노트북을 한 손에 받쳐 들고 키보드를 두드렸다. 무선 랜으로 명령을 받은 로봇 한 대가 무릎을 구부리며 ‘준비 땅’ 자세를 취했다.“철컥 철컥 철컥~.”로봇은 곧 제자리 뛰기를 시작했다. 한 걸음씩 뗄 때마다 금속관절을 움직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겨울이 깊어지면서 국토가 바짝바짝 마르고 있다. 우리나라 겨울철에는 일부 산간지방을 빼고는 강수량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반대로 여름에는 바가지로 쏟아 붓는 듯 굵은 빗줄기가 내려 홍수피해를 보기도 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 내외인데, 그 가운데 70% 이상이 여름에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안녕하세요? 이번에 빙하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 나무늘보 역할로 온갖 액션 연기를 소화한 시드입니다~! 이번 영화에서 생긴 에피소드요? 물론 있지요. 촬영을 마치고 동료 연기자인 매머드와 함께 빙하기가 오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어요.세트였지만 하얀 눈이 사방에 덮여 있으니 아 ... ...
나무 포유류의 조상 수미니아 제트마노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헥헥헥! 저는 지금 우리 인류를 포함한 포유류의 아주 먼 조상을 만나기 위해 은행나무와 소철이 우거진 고생대 페름기의 숲에 왔습니다. 인터뷰를 위해 이 여름에 만사를 제치고 달려왔는데 어떻게 된 걸까요? 우리의 주인공 ‘수미니아제트마노비’는 꼬리도 보이지 않으니 말이에요. 잠시 나무 ... ...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Prologue_ 대포클럽 회원들은 드디어 거대한 대포를 만들어 발사하는 데 성공합니다. 그리고 달을 향해 날아가는 대포알 속에는 바비케인과 미셸 아르당, 니콜이라는 3명의 모험가가 타고 있지요. 이들은 과연 무사히 달을 탐험하고 돌아올 수 있을까요?숫자 대신 문자“잘 들어보게.” 바비케인이 대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인간은 어떻게 정확한 박자에 맞춰 피아노를 치고 시속 150km로 날아오는 야구공을 받아칠 수 있을까. 운전을 하거나 심지어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도 정확한 타이밍은 중요하다. 머릿속‘초시계’덕분에 이런 일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 연구센터 앤 ... ...
연꽃잎에 이슬 맺히지 않는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연꽃잎에는 이슬이 맺히지 않고‘데구루루’구르는 이유가 뭘까.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단지 연꽃잎의 표면이 독특해서’라고 생각했지만 사실은 연꽃잎이 진동하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연꽃잎은 겉보기엔 매끄러워 보이지만 확대해 보면 갈라진 틈이 많고 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 ...
날씬한 몸매 가진 해면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산호에 붙어사는 해면은 매일 엄청난 양의 영양분을 흡수하면서도 몸집은 커지지 않는다. 왜 그럴까. 그 이유는 불어난 세포를 바로 떼어내 버리는 빠른 신진대사 덕분이라는 연구 결과가 ‘실험생물학’ 12월호에 실렸다.네덜란드 왕립해양연구소의 생물학자 야스퍼 데후에이 박사는 해면의 한 종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