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수
적대자
경쟁 상대
적병
앙숙
원수지간
오랑캐
d라이브러리
"
적
"(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슴도치 섬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벌써 해가 지고 있어요. 고슴도치는 언제 찾죠?하핫. 사실 저는 위도에서 고슴도치를 본
적
이 없답니다. 고슴도치는 육지에 사는 동물인데 섬에 있을까요? 잘 모르겠습니다~.아악~! 그걸 이제야 말씀해 주시면 어떻게 합니까~!헤헷~! 저도 ‘어린이과학동아’에 나오고 싶어서 그랬죠! 비록 우리 섬에 ... ...
체험학습 비법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스스로 쓰도록 되어 있지.이번 방학의 체험활동도 그냥 경험으로 끝내지 말고 ‘창의
적
체험활동’이 되도록 정리해 보자.어때? 무턱대고 체험활동을 가는 것보다 이렇게 준비하고 마무리까지 잘 하면 더 알차고 즐거운 체험학습이 될 것 같지 않니? 예쁜 글과 사진, 티켓이 가득한 워크북은 긴 방학 ... ...
영화 오션스의 주인공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구멍을 파 놓고 살아가는 물고기다. 꼬리를 이용해 모래에 구멍을 낸 뒤, 꼬리에서 끈
적
끈
적
한 액체를 내보내 모래를 딱딱하게굳힌다. 변신의 진수를 보여 주지요즘 외모로 승부하는 시대는 끝났어. 아무리 예쁘고 잘 생긴 얼굴도 금방 질린다고! 배우라면 몸의 색과 형태를 바꿔 관객들에게 늘 ... ...
에디슨의 유령탐지기를 찾아라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좀 해 주세요.손성목 관장 : 에디슨이 만든 발명품은 1000개가 넘어요. 하지만 공통
적
인 것은 모두가 시대를 앞서간 발명품들이었다는 거예요. 에디슨이 만든 축음기, 전구, 영사기 등은 모양이나 성능이 좋아졌을 뿐이지 원리는 그 때나 지금이나 그대로랍니다. 자, 그럼 직접 박물관을 구경하면서 ... ...
뚝딱 뚝딱~ 고물의 이유있는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모이면 먹이사슬을 거슬러 천
적
인 뱀도 공격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대.곤충은 천
적
을 피하기 위해 주변 자연 환경과 닮은 모습을 하고 있어. 그러니 자연에서 얻는 재료를 이용하면 다른 재료로 만드는 것보다 훨씬 의미 있는 작품을 만들 수 있단다. 그런 것까지는 전혀 눈치챌 수 없었다구 ... ...
제9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또한 과학 발전에 따라 긍정
적
인 면과 부정
적
인 면이 공존함을 이야기하면서 긍정
적
인 면을 잘 살리면 과학 발전이 더 좋은 세상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이야기하였습니다.하루에도 수 많은 전자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지금, 우리 어린이들은 과연 과학의 발전을 제대로 즐기고 있는지 ... ...
단원편식증을 이겨 내자!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수학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과목이랍니다. 또한 모든 과목의 공부를 잘하려면 ‘수학
적
인 힘’이 필요해요. 우리의 생활을 편리하게 한 모든 과학기술이 수학으로부터 시작됐다는 사실을 통해 수학은 꼭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느낄 수 있겠죠 ... ...
대학 입학 수학 시험, 그림으로 풀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진행되는 수업을 가장 힘들었네. 난 어떠한 수학 문제든 그림을 그려 해결하는 직관
적
풀이를 고집했지. 재밌는 이야기 하나 해 줄까? 나에게 처음 수학을 만나게 해준 삼촌이 바로 그 논리와 형식을 중시하는 정통 수학의 선두주자였다네. 허허.난 정통 수학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미국으로 향했어.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그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아스팔트 등이 나오지. 온도가 낮을수록 맑고, 높을수록 끈
적
끈
적
하고 무거우 며 공기 중으로 증발이 잘 안 되는 특성이 있단다.석유의 특징과 방제 방법석유는 종류에 따라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사고 때 피해도 달라져. 예를 들어 가볍고 증발이 잘 되는 경유는 물에 잘 ... ...
국기로 떠나는 세계여행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태극기는 1882년 7월 미국 해군부 항해국이 제작한 책 ‘해상국가들의 깃발’에서 공식
적
으로 처음 확인할 수 있다. 그 뒤 1882년 9월 수신사 박영효는 일본으로 가는 배 안에서 태극과 4괘를 넣은 국기를 고안했다. 고종 황제는 다음해 이 태극기를 국기로 공포했다. 하지만 만드는 법을 정확하게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