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조로증 치료 길, 드디어 열리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투여한 결과, 체중이 줄어드는 정도가 25% 개선됐다.연구진은 유전자 치료 가능성도 확인했다. 실험쥐의 NAT10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자 체중 감소 속도가 21%가량 늦춰졌고, 심박수 감소도 완화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7일자에 게재됐다.doi:10.1038/s41467-018-03770-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쌓여 있던 지각 내부의 응력 상태 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지열발전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4.3km vs. 6.2km 이상, 진원 논란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팀은 포항지진의 진원이 6.2km보다 더 깊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고 5월 21일 현재 학술지에 투고 ... ...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기본적으로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등 다섯 가지 색상을 분류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doi:10.1073/pnas.1612881114 한편 교육감 선거의 투표용지는 기초의원 선거구별로 유형이 다릅니다. 교육감 선거는 정당이 후보자를 추천하는 게 아니므로 투표용지에 기호가 없습니다. 추첨으로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세포를 잘 들여다보면, 다른 종류의 세포 기능에 필요한 유전자들이 메틸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피부세포의 유전체에서는 근육세포의 기능에 필요한 유전자들이 메틸화돼 있어서 피부세포가 근육세포로 바뀌지 않고, 근육세포에서는 피부세포로 발현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들이 ... ...
- [Culture] 우리 개가 꼬리를 물어뜯으며 빙빙 돌아요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반복합니다. 동물의 강박장애도 이와 비슷합니다. 하지만 동물이 강박적 사고를 하는지 확인할 길은 없습니다. 강박장애를 겪는 동물은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 토토처럼 꼬리잡기 선회행동을 하거나 빛이나 그림자를 쫓아다니는 행동,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파리를 잡는 것 같은 행동,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세포 배양 배지 위에 동전을 잠시 올려둔 다음 치운다. 그리고 다음 날 배지를 확인하면 미생물 수 조 마리가 발견된다. 동전에 있던 미생물이 배지에서 순식간에 번식하기 때문이다. 미생물은 20분마다 한 번씩 세포분열을 한다. 1시간 뒤에는 미생물 1마리가 8마리(1→2→4→8)가 된다. 하루가 지나면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논문을 작성해야 한다.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자신이 어떤 분야에 흥미를 느끼는지 확인하고, 대학원 진학이나 취업 등 자신의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는다. 여 교수는 “우주항공공학전공의 전체 교과과정이 하나의 큰 시스템을 다루는 엔지니어를 길러내는 데 맞춰져 있다”며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선언하고, 정전 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해 핵 없는 한반도를 만든다는 공동 목표를 확인했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개성에 설치하고, 남북적십자회담이나 이산가족 상봉 같은 행사도 열기로 했다. 한반도에 평화의 봄이 오고 있는 것이다. 진정한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서는 아직 거쳐야 할 ... ...
- [매스미디어] 용의자 X의 헌신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히가시노 게이고의 추리소설 ‘용의자 X의 헌신’이 뮤지컬로 돌아왔다. 수학 공식처럼 완벽한 알리바이를 만드는 천재 수학자와 절대 풀리지 않을 것 같은 문제를 해결하 ... 그 과정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반전이 거듭된다. 두 천재의 첨예한 두뇌싸움을 뮤지컬에서 직접 확인해 보자 ... ...
- 우승국은 독일일까 프랑스일까? 2018 러시아 월드컵 전격 예측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맞았는지 확인하는 것보다 이왕이면 직접 예측하고, 그 결과가 얼마나 들어맞았는지 확인하는 게 더 재밌겠죠? 그래서 저도 월드컵을 예측해봤습니다. 수학적 예측과 축구팬으로서의 예측! 어떤 예측이 더 잘 맞을까요? 뭐니 뭐니 해도 가장 궁금한 건 2018 러시아 월드컵의 우승팀이겠죠. 어느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