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일부인"(으)로 총 2,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2014.06.04
- 만일 암흑물질이 2030년에도 발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면, 물리학자들은 새로운 중력이론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 마리오 리비오 & 조 실크, 3월 6일자 ‘네이처’에 기고한 글에서. 멋진 제목에 혹해서 (속는 셈치고) 산 책이 막상 읽어보니 내용도 좋으면 마음이 뿌듯하기 마 ...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헨리 퍼킨 : 합성 염료 시대를 열다KOITA l2014.05.27
- 높은 지 1860년대를 모브 시대로 부르며 급기야 모브는 1880년대 후반까지 영국 우체국의 일부인(日附印) 잉크로도 사용되었다. 그후 각국의 왕실 여성들에게 보라색이 대유행이 되었다. 빅토리아 여왕의 손녀로 러시아의 황제 니콜라이 2세와 결혼한 알렉산드리아도 페테르스부르크 근처에 있던 ...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2014.05.20
- 인간의 X염색체(왼쪽)과 Y염색체는 큰 차이를 보인다. - SPL 제공 ‘네가 있다는 것이 나를 존재하게 해~ 네가 있어 나는 살 수 있는 거야~’ 필자가 20대이던 1990년대 중반 유행한 ‘존재의 이유’라는 노래의 가사 일부이다. 당시에는 누가 내 삶의 의미가 되는 ‘너’일지 곰곰이 생각했지만 ... ...
- [생활속의 기술]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KOITA l2014.05.16
- “아, 왜 이렇게 느린 거야?” ‘015’를 누르기 귀찮아 ‘▲’를 눌러 텔레비전 채널을 올리기 시작했다. 채널 10개를 바꾸는 데 10초가 흐른 것처럼 느껴진다. 너무 느려 답답하다. “채널이 한 번 바뀌는 시간은 0.01초에 불과합니다. 10번 바꾸면 0.1초지요. 하지만 사람은 원하는 화면을 보기까지 0.05 ... ...
- 대장균에서 휘발유를 뽑아낸다!KAIST l2014.05.16
- 작년 11월 영국 임페리얼 대학에서 미생물 대사공학을 이용한 가솔린 생산법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에게 설명하는 이상엽 교수. - KAIST 제공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나무껍질, 잡초 등 비식용 바이오매스로부터 휘발유를 생산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이 ...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IBS l2014.05.14
- 외출 준비를 할 때 가장 먼저 챙기는 물건 중 하나가 스마트폰이다. 예전 같으면 전화기와 지갑만 달랑 챙겨 나가면 그만이었겠지만 전화기로 별별 일을 다 하는 요즘에는 이것만으로는 어딘가 허전하다. 무언가 빠진 것이 없나 살펴보다 책상 위에서 웬 실타래가 하나 눈에 띈다. 이것이다 싶어 덥 ...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2014.05.13
- 미국의 저널리스트 플로렌스 윌리엄스가 2012년 출간한 ‘Breasts’. 2012년은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 출간 50주년과 1952년 미국 휴스턴에서 실시된 첫 번째 유방확대수술 50주년이 되는 해다. 사진은 2013년 나온 페이퍼백. - 강석기 제공 샤워장이나 봄철 대학캠퍼스에 가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여 ...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2014.04.28
- 딱딱딱딱. 한 달 전 쯤 아침 산책을 하려고 앞산 등산로 입구를 막 지나는데 어디선가 새가 부리로 나무를 쪼는 소리가 들려왔다. 이런 소리야 늘 나는 거지만 이날은 유난히 가까이서 들렸다. 문득 귀가 양쪽에 있는 건 음원의 방향과 위치를 파악하기 위함이라는 이론이 생각나 직접 실험해 ... ...
- 꽃은 봄이 온 걸 어떻게 알까?KISTI l2014.04.10
- 올 해도 어김없이 따뜻한 봄이 왔다. 감수성이 그리 풍부하진 않지만 해마다 이때쯤이면 왠지 꽃이 아름다워 보인다. 차도에 한가득 핀 노란 개나리도, 산책로에 팝콘처럼 핀 벚꽃도 왠지 ‘나, 살아있었어’라는 나무의 외침 같다. 어쩜 봄만 되면 일제히 꽃이 필까? 분명 봄과 가을은 기온이 비슷 ... ...
- [재미있는 특허이야기]실패한 풀의 화려한 재탄생, ‘포스트잇’KOITA l2014.04.10
- “붙었다가 떨어지는 접착제를 어디에다 씁니까?” 1968년, 화학제품과 의료기를 만들던 미국의 3M에서 새로운 접착제가 발명됐다. 스펜서 실버(Spencer Silver) 박사가 개발한 것인데, 종이에 발라도 스며들지 않고 접착력은 그대로 유지되는 특징이 있었다. 그런데 이 접착제를 본 동료들의 반응은 썰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