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0,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어린이과학동아 l201104
- 암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질병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최근에는 바이러스 대신 단백질을 사용해 만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답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연구가 지금보다 발전하면 앞으로 더욱 놀라운 반전이 많이 일어나겠죠?"김정범(울산과학기술대학교 나노생명화학공학부 교수)반전 ❸비소 ... ...
-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과학동아 l201104
- 골튼이 ‘핑거프린트(지문)’라는 책을 펴내면서 지문이 실제 수사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골튼은 이 책에서 사람마다 지문이 모두 다르다는 사실을 통계적으로 입증했다. 그는 지금까지도 활용되는 궁상문과 제상문, 와상문 등 지문 분류 방법을 소개했다. 드디어 1892년 아르헨티나 ...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과학동아 l201104
- 반도체 집적회로의 성능은 18개월마다 2배씩 늘어났다. 과거 건물 하나를 통째로 사용했던 컴퓨터의 성능을 오늘날 넷북도 가볍게 뛰어넘고 있다. 언제부터인가 PC는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열어놓아도 거뜬하게 ‘멀티태스킹’을 해치우고 있다.그러나 안타깝게도 뇌의 하드웨어는 1956년 그 유명한 ... ...
-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과학동아 l201104
- 역사와 선조의 생활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코스다. 아차산 봉수대는 고려시대부터 사용했던 봉수대를 1994년 복원한 곳이다. 아차산성은 아차산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는 능선의 중앙에 위치하는 삼국시대 산성이다. 삼국이 한강유역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싸움을 벌였던 역사의 현장이다. ... ...
- 직업에서 취미를 찾은 ‘기상의 달인’과학동아 l201104
- 마이크로필름으로 찍어 필름만 운송한 뒤 이를 현상해 배달하는 에어그라프(airgraph)를 사용했다.] 기상학 박사에게 우표수집이 특별한 이유그는 “옛 우표와 우편물을 찾고 글을 쓰면서 새롭게 알아낸 사실도 많다”고 말했다. 류 과장은 “1894년 미국 우편물을 보면 다음 날 날씨 예보를 도장으로 ... ...
- 교과서에 딱 맞는 3D 전자키트 - 딱킷과학동아 l201104
- 소자 부품을 끼우고 일일이 납땜했지만 딱킷은 블록을 차례로 끼우기만 하면 된다.딱킷 사용설명서에 소개된 전자회로는 모두 25가지다. 발광다이오드(LED)를 켜는 간단한 회로부터 라디오, 초인종, 자명종, 타이머, 도난방지기, 거짓말 탐지기, 녹음기 같은 고급 전자기기까지 만들 수 있다.순서에 ... ...
- MEMS와 의생명공학의 기분 좋은 만남과학동아 l201104
- 스마트폰을 기울여 게임을 하고, 내비게이션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다 멤스(MEMS) 기술 덕분입니다. MEMS 기술로 초소형 위치센서나 가속도센서를 개발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MEMS란 미세전자기계시스템을 일컫는 약자로 최근 잉크젯 프린터, 자동차 가속도계 등 많은 전자기기에 쓰인다 ... ...
- 능동적이고 똑똑한 웹 만들기과학동아 l201104
- 변하고 있죠. 시장의 필요를 한 발 앞서 나가는 비즈니스 감각이 있어야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이 교수는 뛰어난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과 비즈니스 감각을 갖춘 제 2의 빌게이츠, 스티브 잡스가 우리나라에서 탄생하기 바란다는 말을 마지막으로 덧붙였다 ... ...
- 물리-스피드건과 우주 팽창과학동아 l201104
- 고속도로 경찰관이 사용하는 스피드건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달리는 자동차의 속력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도플러 효과를 통해 수백 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보낸 메시지를 해석하면서, 드디어 인류는 우주 팽창이라는 비밀의 문에 도달할 수 있었다. ...
- 생명의 기원, DNA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104
-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 여기에서는 RFLP 중 가장 흔한 형태인 VNTR(Variable Number Tandem Repeat)을 사용한다. 사람의 DNA 중 실제로 단백질을 만들어 유전현상을 나타내는 부위는 전체 DNA 중 1% 정도이며, 여기서 만들어낸 단백질이 사람마다 다른 형질을 나타내게 해준다. DNA의 나머지 99%는 단백질을 만들지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